진행중

영양 현리 오층모전석탑

HeritageWiki
Mkichukov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6월 28일 (수) 04:23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양 현리 오층모전석탑
영양 현리 오층모전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영양 현리 오층모전석탑
한자 英陽 縣里 五層模塼石塔
주소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현리 464
지정번호 보물 제2069호
지정일 2020년 7월 27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영양 현리 오층모전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영양 현리 오층 모전 석탑은 통일 신라 말이나 고려 초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탑으로, 영양 지역에 남아 있는 세 모전 석탑 중 하나이다. 모전 석탑은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탑을 뜻한다.

현리 오층 모전 석탑은 벽돌 모양으로 다듬은 흑회색 점판암을 쌓아서 축조하였으며 기단 위에는 받침대를 놓고 그 위에 탑신*을 쌓아 올렸다. 1층 탑신 남측면에는 네모 모양의 감실**이 있는데, 감실 입구에 세운 화강석 문설주가 감실을 든든히 받치고 있으며 문설주 앞면에는 당초문***을 도드라지게 새겨 예술성을 높였다.


  • 탑신(塔身): 탑기단(塔基壇)과 상륜(相輪) 사이의 탑의 몸.
  • 감실(龕室): 불교나 유교에서 불상이나 신주 등을 모셔둔 곳.
  • 당초문(唐草紋): 여러 가지 덩굴이 꼬이며 뻗어 나가는 모양의 무늬.

영문

Five-story Stone Brick Pagoda of Hyeon-ri, Yeongyang

A pagoda is a symbolic monument enshrining the relics or remains of the Buddha. Although not all pagodas contain the true remains, they are nonetheless worshiped as sacred places that enshrine the Buddha.

This pagoda is presumed to have been erected either at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or at the beginning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It is built of stones cut and stacked like bricks and it is one of the three stone brick pagodas remaining in the Yeongyang area. In 1979, it was dismantled for renovation and its decorative top was newly made at that time.

This pagoda was made by stacking gray-black slate and it is composed of a base, a pedestal, and five sets of body and roof stones. On one side of the first-story body stone, there is a square-shaped niche. The entrance of the niche is equipped with a granite hinge pillar of a gate(door?) carved with scroll designs and has a door.

영문 해설 내용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이 탑은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모전석탑이며, 영양 지역에 남아 있는 세 모전석탑 중 하나이다. 1979년에 해체 복원하였으며, 머리 장식은 이때 새로 만들었다.

이 탑은 흑회색 점판암을 쌓아서 만들었으며, 기단, 받침돌, 5층의 몸돌과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다. 1층 몸돌의 한 면에는 네모 모양의 감실을 두었다. 감실 입구에는 당초문을 새긴 화강석 문설주를 설치하고 문을 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