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4월 18일 (화) 12:31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서산보원사지오층석탑.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1040000 서산 보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Five-story Stone Pagoda at Bowonsa Temple Site, Seosan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영문명칭 Five-story Stone Pagoda at Bowonsa Temple Site, Seosan
한자 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
주소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번지
지정번호 보물 제104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고려 전기 석탑이다. 현재 서산 보원사지 사찰 구역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 탑은 2층의 바닥돌 위에 5층의 몸돌을 올리고 정상에 머리 장식을 올린 구조이다. 아래층 바닥돌에는 사자상을 4면에 총 12개를, 위층 바닥돌에는 팔부중상(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을 4면에 총 8개를 돋을새김하였다. 몸돌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한 층을 이룬다. 1층 몸돌에는 문 모양을 새겼는데 그 안에 몇 개의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문고리나 자물쇠 등을 부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지붕돌은 평평하고 얇고 넓어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머리 장식은 네모난 석제 머리장식받침이 남아있으며, 그 위에 머리 장식의 중심을 잡기 위한 철제 찰주가 꽂혀 있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통일신라~고려 전기의 전형적 석탑이다. 바닥돌의 사자상과 팔부중상의 조각상 배치 등은 통일신라의 전형적 형태이며, 바닥돌을 여러 매의 돌로 제작하고 사자상과 팔부중상의 세부적 조각이 간략화 경향을 보이는 점 등은 고려 석탑의 특징이다. 한편 지붕돌의 경사도가 완만하고 네 모서리 끝이 살짝 들린 것은 백제 탑 양식으로 옛 백제 지역의 특색을 보인다. 따라서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백제와 통일신라의 양식을 계승한 고려 전기 석탑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