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밀양 박연정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월 11일 (수) 09:53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밀양박연정.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2350000 밀양 박연정], 국가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밀양 박연정
밀양 박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밀양 박연정
한자 密陽 博淵亭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상동로 1034-7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35호
지정일 1997년 1월 30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밀양 박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김태허(金太虛ㆍ1555~1620)가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세운 별장이다. 무과에 급제해 벼슬길에 나아간 그는 왜군이 휩쓸고 지나간 지역의 군사와 백성을 규합해 적을 무찔렀고 울산 군수, 창원 부사, 충청 병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등에 제수됐다.

조정이 어수선해지자 모정마을로 낙향해 1613년 동창천이 내려다보이는 관란정(觀瀾亭) 옛터에 정자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서 박연정(博淵亭)이라 불렀다. ‘박연’은 《중용》의 ‘溥博淵泉(부박연천)’에서 따온 말로 ‘하늘처럼 넓고, 연못처럼 깊다’는 의미이다. 이후 화재로 불타버린 것을 1864년 중건했다. 팔작지붕에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이다.

1938년 정문인 충의문(忠義門)을 중건하고, 1966년 재실인 추유재(追裕齋)를 새로 세웠다. 정자 뒤에 있는 빙허대(憑虛臺)는 깎아지른 절벽이 허공에 매달린 듯하다고 해서, 수어대(數漁臺)는 발아래로 동창천이 물고기를 셀 수 있을 정도로 잘 보인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