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거제 학산리 지석묘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9월 2일 (금) 10:45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거제학산리지석묘.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802080000 거제 학산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거제 학산리 지석묘
거제 학산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거제 학산리 지석묘
한자 巨濟 鶴山里 支石墓
주소 경상남도 거제시 둔덕면 학산리 540-5번지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208호
지정일 1998년 11월 13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시대 청동시대
수량/면적 4기
웹사이트 거제 학산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지석묘(支石墓)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 부르며, 세계 지석묘의 40%에 달하는 4만~4만5천기의 지석묘가 한반도에서 발견된다.

거제시에서도 해안가를 중심으로 70곳 이상의 유적에서 고인돌이 줄지어 확인되고 있는데 남해안 일대에서 보기 드문 현상이다.

지석묘는 생김새에 따라 땅 위에 책상처럼 세우는 탁자식(북방식)과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이거나 받침돌 없이 평평한 돌을 얹는 바둑판식(남방식)으로 구분한다.

학산리 지석묘는 이 곳 아사마을의 밭에 5~10m의 거리를 두고 4기가 분포한다. 가장 큰 덮개돌의 길이는 3.5m이며, 깨어져서 본래의 모습을 잃은 것도 있다. 학산리 지석묘의 구조는 땅 속에 돌로 된 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놓은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리는 방식인 바둑판식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