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창원 진동리 유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7월 21일 (목) 11:3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창원 진동리 유적 |영문명칭=Archaeological Site in Jindong-ri, Changwon |한자=昌原 鎭東里 遺...)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창원 진동리 유적
Archaeological Site in Jindong-ri, Changwon
대표명칭 창원 진동리 유적
영문명칭 Archaeological Site in Jindong-ri, Changwon
한자 昌原 鎭東里 遺蹟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진동리 130-1번지 일원
지정번호 사적 제472호
지정일 2006년 8월 29일
분류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유적분포지/유적분포지
시대 청동시대
수량/면적 103,761㎡
웹사이트 창원 진동리 유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진동리 유적은 진동토지구획 정리사업 과정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대규모 유적으로 진동천과 태봉천이 만나 진동만으로 흘러들어가는 충적지와 자연제방에 형성되어 있다. 창원에서 진동면으로 이어지는 국도 14호선 가에는 청동기시대의 밭이, 태봉천 가에는 석관묘 45기와 고인돌이 군집을 이루고 있다. 이 유적과 관련된 마을은 지금의 진동초등학교 근처에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동리 고인돌군은 발굴조사 시 A군에서 K군까지 모두 11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조사되었으며 주인공이 묻혀 있는 매장주체부 주위를 원형 혹은 사각형으로 경계석을 두른 특이한 구조로 밝혀졌다. 묘역식, 구획식, 기단식 무덤으로도 부르는 이런 고인돌은 우리나라 남부 해안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유적 주위의 망곡리, 신촌리 등에서는 청동기시대 마을과 무덤이, 대평리에서는 삼국시대의 무덤이 발굴조사 되었고 마산운전면허시험장에서는 요령식 동검(비파형 동검)이 출토되었다. 진동리 고인돌군 서쪽에 조선시대 진해현 관아와 진해현성이 남아 있어 청동기시대는 물론 조선시대까지 이 일대가 마을의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유적은 2006년에 국가사적 제472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진동리 유적은 한반도 최대 규모의 청동기시대 집단 묘역 중 하나로, 2003년 토지구획 정리사업 과정에서 발견되어 2006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 유적은 진동천과 태봉천이 만나 진동만으로 흘러들어가는 충적지와 자연제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태봉천 가에서 석관묘 45기와 고인돌이 군집을 이뤄 발견되었다. 국도 14호선 가에서는 청동기시대의 밭이 발견되었고, 이 유적과 관련된 마을은 서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곳에 있는 지금의 진동초등학교 근처에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동리 고인돌군은 발굴조사 시 모두 11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조사되었다. 주인공이 묻혀 있는 매장주체부 주위를 원형 혹은 사각형으로 경계석을 두른 특이한 구조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고인돌은 한반도 남부 해안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진동리 유적 주변에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적이 남아 있어, 이 일대가 청동기시대는 물론 조선시대까지 중요한 위치였음을 알 수 있다. 유적 주위의 망곡리, 신촌리 등에서는 청동기시대 마을과 무덤이, 대평리에서는 삼국시대의 무덤이 발굴조사 되었다. 이 유적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1km 떨어진 마산운전면허시험장 자리에서는 청동기시대를 나타내는 유물인 비파형 동검이 출토되었다. 진동리 유적 서쪽에서는 조선시대 관아와 성곽이 남아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