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홍주향교

HeritageWiki
Lyndse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6월 16일 (목) 11:50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홍주향교
H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대표명칭 홍주향교
영문명칭 H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 洪州鄕校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충서로1575번길 93 (대교리)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제135호
지정일 1997년 12월 17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수량/면적 4,195㎡
웹사이트 홍주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홍주향교는 유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홍주에 세운 관학* 교육기관이다. 정확하게 언제 지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1408년(태종 8)과 1420년(세종 2)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여러 차례 큰 해를 입었으나 1978년 대대적인 보수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홍주향교는 낮은 언덕에 자리 잡고 있는데, 앞에는 교육 공간인 명륜당(明倫堂)이 있고, 뒤에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大成殿)이 있다. 대성전 좌우에 동무와 서무**가 있고, 축문을 태우는 망료대, 어둠을 밝히는 청료대, 손을 씻는 관수대, 제사용품을 보관하는 제기고가 있다. 명륜당 옆에는 제사를 준비하는 전사청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담당했지만, 현재는 제사 기능만 남아있다.


  • 관학: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
  • 동무와 서무: 성현의 위패를 나누어 모신 곳으로 대성전의 동쪽과 서쪽에 있는 건물.

영문

H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A local Confucian school, called hyanggyo in Korean, is a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hey were established in jurisdictions across the country to serve as a local shrine for Confuciu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local elites. Students learned about poetry compositio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Although it remains unknown when H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established, historical records mention that it underwent repairs in 1408 and 1420. The school underwent a major renovation in 1978. Hongju is a former name of Hongseong.

The complex is located on a small hill and consists of a main gate, a lecture area, and a veneration area. It has a typical layout of a local Confucian school, in which the lecture area is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veneration area is located in the back on higher ground. The main gate, the lecture hall Myeongnyundang, and the main shrine Daeseongjeon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from front to back. Next to the lecture hall is a ritual preparation hall. In front of the main shrine are auxiliary shrines (Dongmu and Seomu) that face one another, as well as a storehouse for ritual vessels. In front of the shrine, there are several stone structures including a box for burning written veneration invocations, a firelight pedestal, and a handwashing basin.

  • 향교에 대한 정의를 다듬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서 약간 수정했어요.
  • 홍주향교의 망료대, 청료대, 관수대 사진이 확인이 안 되어 box, pedestal, basin이 맞는 말인지 확인 필요.
  • 청료대는 lamp post, fire post, pedestal for burning a fire for illumination 등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고민이 되네요~~ 서양에서 딱 일치되는 말이 없는데 너무 긴 설명도 안 좋은 것 같아요. 그래서 일다 firelight pedestal로 했어요.
  • 홍주는 홍성의 옛 이름 추가하면 좋을 것 같아요.
  • Myeongnyungdang, Daeseongjeon 앞에 굳이 called 쓸 필요가 없는 것 같아요. 그래서 생략해 봤어요.

영문 해설 내용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홍주향교는 정확하게 언제 처음 지어졌는지는 알 수 없고, 1408년과 1420년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1978년 대대적인 보수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낮은 언덕에 자리 잡은 홍주향교는 정문, 강학공간, 제향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학공간을 앞에 두고 제향공간을 뒤의 높은 쪽에 두는 전형적인 향교의 배치 양식을 보여준다. 명륜당 옆에는 제사를 준비하는 전사청이 있다. 사당인 대성전 앞 좌우에는 동무와 서무가 있고, 제사용품을 보관하는 제기고가 있다. 대성전 앞마당에는 축문을 태우는 망료대, 어둠을 밝히는 청료대, 손을 씻는 관수대 등의 석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