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진주 교방굿거리 춤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2월 11일 (금) 01:0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교방굿거리춤.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223800210000 진주 교방굿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교방 굿거리 춤
진주 교방굿거리 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주 교방 굿거리 춤
한자 晋州 敎坊 굿거리 춤
국가유산 종목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1호
지정(등록)일 1997년 1월 30일
분류 무형문화재
웹사이트 진주 교방굿거리 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교방굿거리 춤은 고려 문종(1047~1082) 시절부터 조선 시대까지 교방청*에서 전해 온 춤이다.

진주 교방굿거리 춤은 고종황제 시절에 궁중무희였던 최완자(崔完子, 1892~1973)가 진주로 낙향하여 교방에서 전수하였는데, 김녹주(1902~1979)로부터 김수악(金壽岳, 1926~2009)에게 이어져 전승되었다.

진주 교방굿거리 춤은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으로 우리 춤의 네 가지 요소인 한, 흥, 멋, 태와 정, 중, 동을 고루 갖추고 있다. 춤의 동작이 복잡하고 즉흥적인 요소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교방청(敎坊廳) : 기녀(妓女)를 관장하고 기녀에게 음악, 노래, 춤 등 기예(技藝)를 가르치던 관청으로 조선 시대에는 장악원(掌樂院)을 교방이라고 하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교방굿거리춤은 기녀들에게 음악과 노래, 춤을 가르치던 기관인 교방을 통해 전해지던 춤으로,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추는 독무이다.

진주 지방에 전해지는 교방굿거리춤은 김수악(1926-2009)에 의해 전승되었다. 김수악은 조선 고종(재위 1863-1907) 때 궁중 무희였던 최순이(1892~1969)가 고향으로 돌아와 관청의 예기들에게 전승한 굿거리 춤에, 김녹주(1902~1979)에게 배웠던 소고춤을 접목하여 1940년대에 진주 지역만의 특징이 있는 굿거리 춤을 만들어냈다.

이 춤은 피리, 대금, 장구, 북, 아쟁 등의 악기로 연주하는 굿거리장단에 구음 장단을 곁들여 진행된다. 춤을 출 때는 남색 치마의 미색 저고리를 입고, 소도구인 소고를 든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춤은 동작이 복잡하고 즉흥적인 요소가 많은 것이 특징이며, 2장씩 묶어 사계절을 표현하였다.

참고 자료

  • 김수악의 진주교방굿거리춤 연구, 남선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 진주교방굿거리춤의 형성과정과 특성 연구, 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분류:시도무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