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26일 (토) 17:0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기림사대적광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08330000 경주 기림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Daejeokgwangjeon Hall of Girimsa Temple, Gyeongju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영문명칭 Daejeokgwangjeon Hall of Girimsa Temple, Gyeongju
한자 慶州 祇林寺 大寂光殿
주소 경북 경주시 양북면 기림로 437-17, 기림사 (호암리)
지정번호 보물 제833호
지정일 1985년 1월 8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적광전은 지혜의 빛으로 세상을 비춘다는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모시는 법당이다. 1997년 해체공사 때 묵서가 발견되었는데, 임진왜란 후 인조 7년(1629)에 크게 고쳐지었고, 영조 31년(1755)과 정조 9년(1785)에도 대대적인 수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소조 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 제958호)을 모시면서 대웅전을 대적광전으로 고쳐 부른 듯 하다.

정면 5칸, 측면 3칸이지만 정면의 칸 사이가 넓어 좌우가 긴 건물이다. 정면의 중앙 3칸에는 4짝씩, 양쪽 끝 칸에는 3짝씩 꽃살창을 달았다. 측면은 중앙의 두 기둥을 높게 세우고 맞배지붕*을 얹었다.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올린 다포양식이다.

건물의 구조는 단순하지만 꽃살로 장식된 창호나 내부 천장 아래의 공포도 화려한 조각으로 장식한 모습이 특징이다. 여러 차례 수리를 거치면서도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맞배지붕 : 건물의 앞뒤로만 지붕면이 만들어진 지붕 형식
  • 공포(栱包)  : 지붕 처마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기둥 상부에 짧은 여러 부재를 짜 맞추어놓은 것을 말함


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