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천내리 지석묘군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8월 19일 (수) 02:36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천내리지석묘군.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2200130000 천내리 지석묘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천내리 지석묘군
천내리 지석묘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천내리 지석묘군
한자 川內里 支石墓群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 515-1 일대
지정번호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3호
지정일 2006년 4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시대 청동시대
수량/면적 8기
웹사이트 천내리 지석묘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건축유산인 지석묘는 흔히 고인돌이라 불린다. 천내리 지석묘는 지하에 판석이나 깬돌, 냇돌 등으로 묘실(墓室)을 만든 뒤 그 둘레에 받침돌을 몇 개 놓은 뒤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 고인돌이다. 과거 화원읍 천내리와 성산리의 진천천 유역에는 많은 지석묘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를 칠성바위라 부르며 자식 낳기를 기원하는 곳으로 신성시하였다. 현재 이 곳에는 8기의 지석묘가 북동~남서 방향으로 있는데, 4기는 화원교도소 담 밑에, 3기는 화원교도소의 동남쪽인 화장사 경내에, 나머지 1기는 화장사 담에 걸쳐 있다. 화원교도소 담 밑에 있는 4기의 지석묘 사이에는 후대에 설치된 석조부도 1기가 있다. 이들 8기의 지석묘 중 화장사 극락보전 옆의 지석묘에는 성혈흔(性穴痕)*이 확인된다.


  • 성혈흔(性穴痕) : 선사시대 예술의 일종으로, 돌 표면을 깎거나 파내어 도형을 만든 흔적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거석무덤이다. 고인돌은 전 세계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세계 고인돌의 40%에 달하는 4만~4만 5천기의 고인돌이 한반도에서 발견되었다.

이 일대에는 현재 8기의 지석묘가 남아있다. 이곳의 지석묘들은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큰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이다.

과거 이 일대에는 많은 지석묘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지금은 화장사(華藏寺) 경내에 있는 3기와 화장사 담에 걸친 1기, 화원교도소 담 아래에 위치한 4기만 확인된다.

마을 사람들은 남북으로 길게 이어진 이 지석묘들을 ‘칠성바위’라 부르며 자식 낳기를 기원하는 곳으로 신성시하였다.

  • 화장사 극락보전 옆의 지석묘(1호)에서는 성혈흔(性穴痕)*이 확인되었다.
  • 칠성각 옆 화장사 담에 걸친 1기는 대구 지역에서도 손꼽히게 큰 규모이다. 높이가 약 3m에 이르며 길이도 5m가 넘는다.

참고 자료

  • 한때 대구읍성 밖 사방 수㎞ 걸쳐 수십基씩 줄지어 ‘장관’, 영남일보, 2012. 10. 12.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21012.010340747440001 -> 고인돌무덤은 일렬로 군집해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이곳 거석을 칠성바위라 불렀다. 화장사 경내는 도시계획에 따라 도로 확장이 설계돼 있었으나 고인돌이 기념물로 지정됨에 따라 도로가 나지 않았다. / 칠성각 바로 옆에 있는 고인돌은 탐방팀이 대구에서 목격한 고인돌 중 규모가 가장 컸다. 높이가 약 3m에 이르며 길이도 5m가 넘는다. 바위에는 흐릿하나마 3개의 동심원마크도 보인다. / 화장사 극락보전 옆 고인돌에는 다산을 기원하거나 별자리를 표시한 성혈(性穴 또는 星穴)이 자국이 뚜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