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운악산성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7월 5일 (일) 01:0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운악산성
최진연, 우리 터, 우리 혼... 운악산성, cnnphoto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대표명칭 운악산성
한자 雲岳山城
주소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동로 190
국가유산 종목 포천시 향토유적 제49호
지정(등록)일 1986년 4월 9일
소유자 국유



해설문

국문

포천시와 가평군의 경계에 있는 운악산에 축조된 산성이다.

험준한 산의 절벽을 많이 활용하여 극히 적은 부분만 돌로 성벽을 쌓았다. 성벽은 대부분 무너지고, 무지치(무지개) 폭포 동북쪽 능선에 일부분이 남아 있다. 조선 후기 포천 읍지에는 운악산 꼭대기에 옛 대궐 터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산성은 험준하고 높은 입지를 선택하여 적은 노동력으로 한정된 구역에만 성을 쌓았으며, 축성 방법에 계획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산성은 고려시대 이후 갑작스러운 외침에 대비하여 축조한 사례가 많다. 출토된 기와와 토기는 주로 고려~조선 시대에 사용된 것이다. 이를 통해 보면, 운악산성은 고려 시대에 거란과 몽고·합단(哈丹)이 침입했을 때, 혹은 고려 말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이 극심한 시기에 시급히 축조하여 사용되다가 곧 폐기된 것으로 추측된다.

영문

Unak Sanseong Mountain Fortress

Unak Sanseong is a mountain fortress constructed alo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division between Pocheon and Gapyeong, Gyeonggi Province. Cliffs were helpful in building fortress walls because less stone and labor were needed. Few walls remain of this mountain fortress. According to the Record of Pocheon Village compi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1392-1910), there was an old palace site at the top of Unaksan Mountain.

The walls of Unak Sanseong Fortress appear to have been erected without a detailed plan because they were built at the time of foreign invasion, not as preparation for a future war. Excavations show that the fortress walls were constructed at different times in response to successive invaders such as the Mongols in the 13th century based on the fact that excavated roof tiles and earthenware can be related to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