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9일 (화) 13:4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Former Punggak-myeon Office, Cheongdo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영문명칭 Former Punggak-myeon Office, Cheongdo
한자 淸道 舊 豊角面事務所
주소 경북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 600-1번지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256호
지정일 2006년 6월 19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업무시설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1동(수준점 포함), 1층 연면적 219.8㎡
웹사이트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1930년대에 건립된 장방형 평면의 면사무소 목조건물이다. 돌출시킨 현관 포치에 의해 중앙현관의 상징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지붕의 박공부분에 구성된 여러 단의 특이한 환기창, 돌출된 현관의 캐노피, 목재 비늘 판벽과 시멘트 모르타르 2단으로 마감된 외벽 등 의장적 특징이 보인다. 지붕은 용마루 양단부를 삼각형으로 모를 낸 ‘반절맞배지붕’형식을 취하고 있다. 마당에는 측량의 기준이 되는 수준점이 남아있다. 일제강점기 지방 면사무소의 건축형태와 공간 구성 및 재료 등을 잘 보여주는 건물로 근대 사무소 건물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으며 건축적, 향토사적, 지방행정사적 가치가 있다. 현재 풍각면사무소는 2005년에 새 청사로 이전하였고, 이건물은 ‘청도 작은도서관’으로 개관되어 주민들과 어린이들의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1930년대 건축된 옛 풍각면사무소 건물이다. 풍각면(豐角面)은 청도군의 가장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풍각면의 지형과 위치가 마치 소뿔 사이의 넓은 곳처럼 생겨서 풍성할 '풍(豊)' 자를 붙여 풍각(豊角)이라고 하였다.

구 풍각면사무소는 좌우로 긴 장방형이며 남향을 하고 있다. 현관에는 비바람을 막는 시설물인 포치(porch)를 설치했다. 외벽은 기다란 목재판으로 비늘과 같이 마감하였고, 비늘판벽 위 지붕 부분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건물 앞마당에는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이 되는 수준점(水準點)이 있다.

구 풍각면사무소는 건립 당시의 모습이 잘 남아 있어 일제강점기 지방행정 기관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풍각면사무소는 2005년에 새 청사로 이전하였다.

1차 수정

1930년대에 지어진 옛 풍각면사무소 건물이다. 풍각면은 청도군의 가장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풍각면의 지형과 위치가 마치 소뿔 사이의 넓은 곳처럼 생겨서 풍성할 '풍(豊)' 자를 붙여 풍각(豊角)이라고 하였다.

구 풍각면사무소는 좌우로 긴 장방형이며 남향을 하고 있다. 현관에는 비바람을 막는 시설물인 포치(porch)를 설치했다. 외벽은 기다란 목재판으로 비늘과 같이 마감하였고, 비늘판벽 위 지붕 부분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건물 앞마당에는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이 되는 수준점(水準點)이 있다.

구 풍각면사무소는 건립 당시의 모습이 잘 남아 있어 일제강점기 지방행정 기관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풍각면사무소는 2005년에 새 청사로 이전하였다.

자문의견

2차 수정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