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남산 포석계 기암곡 제2사지 동삼층석탑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6일 (토) 12:0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남산포석계기암곡제2사지동삼층석탑.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남산 포석계 기암곡 제2사지 동삼층석탑
경주 남산 포석계 기암곡 제2사지 동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남산 포석계 기암곡 제2사지 동삼층석탑
한자 慶州南山 鮑石溪 碁岩谷 第2寺址 東三層石塔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42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01호
지정일 2012년 10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경주 남산 포석계 기암곡 제2사지 동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남산 포석계의 한 지류인 기암곡, 장구터라 불리는 골짜기에 있는 절터에 무너진 쌍탑(雙塔)이 있었는데, 두 차례 발굴조사 후 부재가 많이 남아 있던 동탑을 2004년에 우선 복원하였다.

탑의 바닥돌은 2층으로 각 면에 모서리 기둥과 안기둥을 새겼다.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1개의 돌로 만들어졌으며, 특히 1층 몸돌 남쪽 면에 문(門)과 빗장, 문고리까지 새겼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모두 4단이고, 윗면에는 몸돌받침이 2단으로 돋을새김 되어 있다. 탑 주위는 다듬은 돌을 깔아 구획해 놓았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이다. 실제 유골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이 삼층석탑은 9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 절터에는 도굴되어 파손되고 무너진 쌍탑이 있었는데, 두 차례 발굴조사를 거쳐 부재가 더 많이 남아 있던 동탑을 2004년 우선 복원하였다.

2층의 기단과 3층의 몸돌 및 지붕돌, 머리장식 일부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 각 층에는 모서리 기둥과 안기둥을, 각 층의 몸돌에는 모서리 기둥만 새겼다. 1층 몸돌 한 쪽 면에 문고리와 빗장이 표현되어 있는 문이 새겨져 있다. 탑 주위에는 다듬은 돌을 깔아 영역을 구분해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