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4일 (목) 01:35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장항리서오층석탑.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702360000 경주 장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
West Five-story Stone Pagoda in Janghang-ri, Gyeongju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
영문명칭 West Five-story Stone Pagoda in Janghang-ri, Gyeongju
한자 慶州 獐項里 西 五層石塔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1083
지정번호 국보 제236호
지정일 1987년 3월 9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곳 절터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어 지명을 따서 장항리 석탑으로 부른다. 석탑은 주변에서 산출되는 연분홍색을 띤 밝은 화강암으로 동서로 세워진 쌍탑이었으나 서탑은 비교적 원형으로 복원되었고, 동탑은 받침돌도 없이 1층 몸돌과 5층까지의 지붕돌만 남아 있다.

전형적인 신라석탑 형식이면서 5층탑으로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한 개의 돌로 만들었다. 1층 몸돌의 네 면에는 직사각형의 문과 문 양쪽에 금강역사상(金剛力士像)을 새겼다. 금강역사상은 연꽃 위에 무기를 들고 서있는 권법拳法 자세로 모서리 기둥에 살짝 걸쳐져 있다. 각 층의 처마 끝에는 풍경(風磬)*을 달았던 구멍이 2개씩 남아 있다. 탑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는 받침돌露盤만 남고 모두 없어졌다.

1923년 4월 사리를 훔칠 목적으로 광산에서 쓰던 폭약으로 석탑과 석불을 폭파하는 사건이 있었다. 1932년에 서탑만 원래의 자리에 복원되었고, 불상은 국립경주박물관 야외 전시장으로 옮겨졌다.

전체 비례가 아름답고 조각수법도 우수한 8세기의 걸작품으로 평가된다.


  • 풍경(風磬): 처마 끝에 다는 작은 종. 속에 쇳조각을 달아놓아 바람이 부는 대로 흔들리면서 소리가 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이다. 실제 유골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이 오층석탑은 통일신라시기인 8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 이름을 추정할 만한 기록이 없어 지명을 따서 절터와 탑의 이름을 지었다.

탑은 2층의 기단, 5층의 몸돌과 지붕돌, 머리장식 일부로 이루어져있다.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1층 몸돌의 각 면에는 문을 지키는 인왕상 1쌍이 조각되어 있다. 5단의 받침을 두고 있는 지붕돌 처마 끝에는 풍경(風磬)*을 달았던 구멍이 2개씩 남아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던 네모난 받침돌이 남아 있다.

탑의 1층 몸돌 각 면에 인왕상을 조각하는 현상은 이 탑의 독특한 특징이기도 하며, 8세기 전반기에 처음 나타난다.

현재 금당터를 중심으로 동탑과 서탑이 나란히 서 있는데, 1923년 도굴범에 의해 붕괴된 것을 1932년에 서탑만 원래 자리에 새로 복원했다. 동탑은 받침돌도 없이 1층 몸돌과 5층까지의 지붕돌만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