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포 덕포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10월 22일 (화) 14:4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포덕포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102920000 김포 덕포진], 국가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포 덕포진
Deokpojin Fort, Gimpo
김포 덕포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포 덕포진
영문명칭 Deokpojin Fort, Gimpo
한자 金浦 德浦鎭
주소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산103-1번지
지정번호 사적 제292호
지정일 1981년 9월 25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시설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48,829㎡
웹사이트 김포 덕포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가포대(砲臺)(약물터)는 총7개의 포대(砲臺)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화 초지진과 덕진진의 남장포대를 향하고 있다. 1980년 발굴조사 당시 중포(中砲) 2문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1문은 고정식 포가(砲架, 포 받침대)에 걸려있는 채로 발굴되었다. 각 포에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는데 포의 무게, 화약의 용량과 함께 ‘同治13년(고종 11년, 1874) 5월’ 운현궁에서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수군 진영이다. 이곳에 처음 진영이 설치된 시기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덕포진은 강화해협을 통해 서울로 진입하려는 외세의 침략을 방어하는 역할을 하였다. 김포 신안리 지역은 강화도의 광성보, 덕진진, 초지진 등과 물길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기 때문에, 외적이 침입하면 양쪽에서 포를 쏴서 저지할 수 있었다. 1866년 병인양요와 1871년 신미양요 때는 덕포진이 격전지가 되었다.

덕포진에는 총 15개의 포대가 세 구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곳은 그중 첫 번째 구역으로 총 7개의 포대로 이루어져 있다. 각 포대의 지붕은 이엉으로 되어 있다. 덕포진의 포는 모두 청동제로, 표면에 포의 무게, 화약의 용량과 함께 1874년 운현궁에서 제작되었다는 내용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