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청주 고은리 고택

HeritageWiki
Lyndse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7월 28일 (목) 17:40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주 고은리 고택
Historic House of Go Eun-ri, Cheongju
청주 고은리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청주 고은리 고택
영문명칭 Historic House of Go Eun-ri, Cheongju
한자 淸州 高隱里 古宅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고은리 190-1번지
국가유산 종목 국가민속문화재 제133호
지정(등록)일 1984년 1월 1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필지/5,497㎡
웹사이트 청주 고은리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청주 고은리 고택은 철종 12년(1861)에 지은 안채와 그 이후에 지은 사랑채로 이루어진 가옥이다. 이 고택은 ‘고선재(高宣齋)’라고도 하는데, 이는 풍천도호부사(豊川都護府使)를 지냈던 이시득(李時得)이 내려와 살면서 학문과 덕을 베풀어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준 것에서 유래한다.

이곳에서는 조선 후기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넓은 기둥 간격과 높은 지붕을 통해 전통적 건축 기법을 엿볼 수 있다. 고택은 ‘ㄱ’자형 안채와 ‘ㅡ’자형 행랑채 및 곳간채, 광채가 남아 있는데, 이는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주거 형태이다. 또한 지형을 이용하여 담장을 쌓고, 내부에 채와 마당을 구분하는 담장을 쌓아 다양한 공간으로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사랑채는 손님을 맞이하는 공간이므로 외부에 개방되어 있으며, 사랑채 앞에는 넓은 바깥마당이 있다. 지형상 동쪽으로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행랑채에 비하여 당당하게 드러나고 있는 모습이다.

사랑채 동쪽에는 수령이 300∼400년이 되는 회나무가 있고, 안마당 화단에는 모과나무, 향나무, 감나무 등이 있어 아담한 마당과 어우러진 전통적인 정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영문

Historic House in Goeun-ri, Cheongju -- 왜 'of Go Eun-ri'로 되어 있죠?

This historic house in Goeun-ri is an example of the upperclass residential architecture of the Cheongju area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house is known by the name Goseonjae, meaning "House of High Benevolence." This name comes from the military official Yi Si-deuk (1574-1640), who lived in the house while serving as local magistrate and was known for having shared his knowledge and virtue to help people in need.

It is unknown when this house was first established. The current buildings date to 1861 and later, with the oldest among them being the women’s quarters. There is also a men’s quarters, servants' quarters, and two storehouses. The buildings' shapes and overall layout are typical for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architectural features, such as the wide spaces between pillars and the tall roofs, are typical for the late Joseon period.

The men’s quarters, located at the front right, served as a reception area for guests. It was therefore made directly accessible from its wide front yard. Its tile hip-and-gable roof and tall stone foundation distinguish it from the thatched roof servants' quarters to the left. Behind the men's quarters, there is an enclosure wall that blocks the view into the inner courtyard and women's quarters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principle of separation of the sexes. The storehouses are located next to the women's quarters.

The house displays the features of a traditional Korean garden, as seen in the 300 to 400-year-old Siberian spindletree next to the men's quarters and the quince, Chinese juniper, and persimmon trees in the inner couryard.

  • 이시듯 생몰년 역대인물DB
  • '이 곳에서 살면서'는 이 집을 의미하나요 아니면 이 마을? 이 지역?
  • "전형적인 구성" - 구성은 layout인지 건물 종류를 말하는건지 잘 모르겠어요. 국문을 참고해서 번역했습니다.
  • 기둥 간격을 넓게 두고 지붕을 높게 올리는 등 조선 후기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건축 기법
    • 건축 기법(construction technique)보다 건축 양식(architectural style)이 아닌가요?
    • 이 것이 안채에 대한 얘기인지 모든 건물에 해당되는 내용인지 확인 부탁~
  • "또한 지형을 이용하여 담장을 쌓고,"
    • 이것이 뭐에 대해 얘기하는지 모르겠어요. 사진에서 보이지 않아요. 뒤에 있는 석축을 의미하나요?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조선시대 청주 지역의 지주계층이 살던 집이다. 이 집은 ‘고선재’라고도 부르는데, 조선 후기의 무신인 이시득이 이 곳에 살면서 학문과 덕을 베풀어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준 것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집은 1861년에 지은 ㄱ자형의 안채와 그 이후에 지은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로 이루어져 있다. 이은 중부 지방 가옥의 전형적인 구성이다. 또한 지형을 이용하여 담장을 쌓고, 사랑채 뒷편 안마당에는 담장을 쌓아 공간을 구분한 것이 특징이다. 기둥 간격을 넓게 두고 지붕을 높게 올리는 등 조선 후기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건축 기법도 엿볼 수 있다.

사랑채는 손님을 맞이하는 공간이므로 외부에 개방되어 있으며, 사랑채 앞에는 넓은 바깥마당이 있다. 돌로 쌓은 기단 위에 높은 팔작지붕 건물로 세워, 왼쪽의 행랑채에 비하여 당당한 위계를 드러냈다.

사랑채 옆에는 수령이 300-400년이 되는 회나무가 있고, 안마당 화단에는 모과나무, 향나무, 감나무 등이 있어 아담한 마당과 어우러진 전통적인 정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청주 이항희 가옥 참고 (청주 이항희 가옥에서 청주 고은리 고택으로 지정명칭 변경됨.)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