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자(경주 월성)

HeritageWiki
Lyndse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4월 15일 (금) 09:16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해자 垓子
경주월성유적 소개,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국립문화재연구원.
Goto.png 종합안내판: 경주 월성



해설문

국문

해자는 성곽 둘레를 따라 땅을 파고 물을 담아 적이 쉽게 침범하지 못하도록 한 방어 시설을 말한다. 신라 왕궁이었던 월성은 남쪽의 남천과 북쪽의 해자로 둘러싸여 물에 의해 보호되었었다.

월성의 해자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때를 기점으로 그 모습과 기능이 변하였다. 통일 전인 4~7세기에는 수혈 해자*로서, 수로와 같은 모습이었으며 방어와 배수가 중요한 기능이었다. 그러나 삼국 통일 후인 8세기 이후에는 석축 해자**를 세웠으며, 이전보다 규모가 축소되고 좁은 수로로 연결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연못처럼 바뀌었다. 이 시기의 해자는 방어보다 조경의 의미가 강했다. 9세기 무렵 관청이 확장되면서 해자는 더욱 축소되어 결국 폐기되고, 그 위에 여러 건물들이 세워졌다.

월성 해자의 존재는 1984년 시굴 조사***를 통해 비로소 알려졌다. 이후 여러 차례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재현·정비공사가 진행되었다. 해자의 재현은 발굴된 원래의 해자를 훼손하지 않고 가장 잘 남아 있는 석축을 기준으로 한다는 기본 방향 아래 계획되었으며, 이에 따라 물을 담은 석축 해자가 새롭게 만들어졌다.

월성은 『삼국사기』의 “101년 신라 제5대 왕인 파사이사금이 성을 쌓았다”라는 기사를 비롯해 여러 문헌에 등장하지만, 내부의 구체적인 구조 또는 해자와 같은 주위 시설에 대한 기록은 거의 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월성 해자는 월성의 옛 모습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 수혈 해자: 땅을 파서 만든 해자
  • 석축 해자: 돌을 쌓아 만든 해자
  • 시굴 조사: 발굴 조사 전에 시험적으로 굴착하여 조사하는 것

영문

Moat (Wolseong Palace Site, Gyeongju)

This is the moat of Wolseong, the main royal palace of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A moat is a ditch dug around a strategically important area and filled with water to provide an additional line of defense. This artificial moat protected the palace's northern side, while its southern side was naturally protected by Namcheon Stream.

In the 4th to 7th centuries, prior to Silla’s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668, the moat was a simple ditch used for defense and water disposal. In the 8th century, it was reduced in scale, reinforced with stone, and split into separate ponds that were connected via narrow water channels. Around the 9th century, the moat was further reduced in size and eventually gotten rid of to accommodate the construction of more government office buildings.

The moat's existence was first confirmed during an archeological survey in 1984 and several excavations followed. The current moat was newly constructed in 2021 atop the archeological remains. It is based on the 8th-century stone moat, which was the most well preserved among the archeological layers.

The excavation of this moat provided many important clues about the palace’s original structure, about which little is known. Little is known about the inner layout and surrounding facilities of Wolseong Palace, apart from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sagi) that mention that King Pasa (r. 80-112) built a fortress in the year 101. Therefore,


  • I changed “fortress” to “fortified or strategically important area” since it is not really a fortress moat.

영문 해설 내용

해자는 성곽 둘레를 따라 땅을 파고 물을 담아 적이 쉽게 침범하지 못하도록 한 방어 시설을 말한다. 신라 왕궁이었던 월성은 남쪽에 남천이 있어 천연 해자의 역할을 하였고 북쪽에 해자를 설치하였다.

월성의 해자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때를 기점으로 그 모습과 기능이 변하였다. 통일 전인 4-7세기에 만들어진 해자는 땅을 파서 만든 수로와 같은 모습이었고, 방어와 배수가 중요한 기능이었다. 그러나 삼국 통일 후인 8세기 이후에는 돌을 쌓아서 해자를 만들었다. 이전보다 규모가 축소되고 좁은 수로로 연결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연못처럼 바뀌었으며, 방어보다 조경의 의미가 강했다. 9세기 무렵 관청이 확장되면서 해자는 더욱 축소되었고 그 위에 여러 건물들이 세워졌다.

월성 해자의 존재는 1984년 시굴 조사를 통해 처음 알려졌다. 이후 여러 차례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재건 및 정비공사가 진행되었다. 해자의 재건은 발굴된 원래의 해자를 훼손하지 않고 가장 잘 남아 있는 석축을 기준으로 한다는 기본 방향 아래 계획되었으며, 이에 따라 물을 담은 석축 해자가 새롭게 만들어졌다.

월성은 『삼국사기』의 “101년 신라 제5대 왕인 파사이사금(재위 80-112)이 성을 쌓았다”라는 기사를 비롯해 여러 문헌에 등장하지만, 내부의 구체적인 구조 또는 해자와 같은 주위 시설에 대한 기록은 거의 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월성 해자는 월성의 옛 모습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갤러리

개별안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