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영규대사 묘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8월 7일 (토) 20:0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규대사 묘
영규대사 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영규대사 묘
한자 靈圭大師 墓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산5번지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제15호
지정일 1977년 1월 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281㎡
웹사이트 영규대사 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영규대사묘는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인 영규대사(靈圭大師, ?~1592)의 묘이다.

영규대사는 공주 출신으로 계룡산 갑사에서 출가한 후 서산대사 휴정(西山大師 休靜)의 문하에서 불법을 공부하였고, 계룡산 갑사 청련암과 금산 보석사에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을 모집하여 최초로 승병장이 되었으며, 의병장 조헌(趙憲)과 함께 청주성 전투에서 왜군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다. 그의 승전보로 인해 곳곳에서 승병이 일어났다.

당시 의주까지 피란을 갔던 선조는 승전 소식을 듣고 그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다. 그런데 하사품이 도착하기 전에 금산전투에서 700여 명의 의병과 함께 싸우다가 부상을 당하였고, 현재의 묘 부근에서 숨을 거두었다. 대체로 승려들은 임종 후 화장을 하는데, 계룡산 갑사의 승려들은 그가 숨을 거둔 장소에 특별히 무덤을 만들었다.

1810년(순조 10) 대사의 방계 후손인 박경진(朴景震), 박경태(朴景兌)가 묘비를 세웠다. 봉분 앞 상석에는 영규대사의 호를 따서 ‘의병승장 기허당(義兵僧將 騎虛堂)’이라고 새겼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의 승려이자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인 영규(?-1592)의 묘이다.

영규는 공주 출신으로 계룡산 갑사에서 출가한 후 휴정(1520-1604)의 문하에서 불법(佛法)을 공부하였고, 계룡산 갑사 청련암과 금산 보석사에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을 모집하여 승병장이 되었으며, 의병장 조헌(1544-1592)과 함께 청주성 전투에서 임진왜란 최초의 승리를 이끌었다. 그의 승전보로 인해 전국 곳곳에서 승병이 일어났다.

당시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선조(재위 1567-1608)는 승전 소식을 듣고 영규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다. 그런데 하사품이 도착하기도 전에, 영규는 금산전투에서 700여 명의 의병과 함께 싸우다가 부상을 당하였고, 현재의 묘 부근에서 숨을 거두었다. 승려는 대체로 임종 후 화장을 하는데, 계룡산 갑사의 승려들은 그가 숨을 거둔 장소에 특별히 무덤을 만들었다.

1810년 대사의 방계 후손인 박경진, 박경태가 묘비를 세웠다. 봉분 앞 상석에는 영규대사의 호를 따서 ‘의병승장 기허당’이라고 새겼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영규대사_묘 Place 영규대사_묘
영규대사 Actor 영규대사(靈圭大師_?-1592)
임진왜란 Event 임진왜란(1592)
서산대사 Actor 서산대사(西山大師_1520-1604)
조헌 Actor 조헌(趙憲_1544-1592)
청련암 Place 청련암(靑蓮庵)
보석사 Place 보석사(寶石寺)
청주성_전투 Event 청주성_전투
금산_전투 Event 금산_전투
J34-0015-0000 Heritage (충청남도_기념물_제15호)_영규대사_묘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영규대사_묘 영규대사 isTombOf
영규대사_묘 J34-0015-0000 isDesignatedAs
임진왜란 영규대사 isRelatedTo
영규대사 서산대사 wasOrdainedBy
영규대사 조헌 isRelatedTo
영규대사 청련암 isRelatedTo
영규대사 보석사 isRelatedTo
영규대사 청주성_전투 participatesIn
영규대사 금산_전투 participatesIn
조헌 청주성_전투 participatesIn
조헌 금산_전투 participatesIn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