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성벽 용어(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6번째 줄: 36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옹성은 성문의 방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성문 밖에 쌓은 성벽이다. 보통 성곽 시설 중 가장 취약한 곳은 성문인데, 이러한 성문을 공격하거나 부수려는 적을 측면과 후방에서 입체적으로 공격하며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옹성의 출입구는 보통 지형에 따른 자연배수와 외부에서 성문이 바로 보이지 않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성문의 좌측이나 우측에 설치하지만 때로 성문과 일직선 방향에 설치하기도 한다. 기록에 따르면 경상좌도병영성의 성문 4곳에는 모두 옹성이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 확인된 곳은 동문, 서문, 북문 뿐이다.
 +
 +
치(雉)는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의 접근을 사전에 관찰하고, 성벽에 접근한 적을 정면이나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게 하는 시설물이다. 치는 원래 꿩을 뜻하는데, 꿩이 몸을 잘 숨기고 엿보기를 잘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였다. 치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이지만 반원형, 타원형도 있으며, 치를 설치할 장소를 결정할 때에는 치의 양쪽에서 적을 공격할 때 모든 성벽이 사정거리에 들어올 수 있는 간격을 고려하였다. 치에서는 포와 화살 등의 무기가 사용되었고, 관측용과 장수의 지휘용으로 사용되는 치도 있었다.
 +
 +
해자는 적의 접근을 막기 위해 성벽 주변에 인공으로 땅을 파서 만든 도랑이나 못을 말한다. 한국의 전통 성곽은 산에 축조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 환경의 특징에 따라 물을 채우지 않은 해자가 많다. 경상좌도병영성 또한 이에 해당한다. 해자는 성벽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돌을 쌓아 설치한다. 사람이 쉽게 건너거나 빠져나오기 힘든 넓이와 높이로 만들어지며,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해자 안에 마름쇠나 나무꼬챙이 등의 장애물을 설치하였다. 해자는 방어 목적 외에도 성벽의 기초 침하 방지, 지하수위 조절 등의 역할을 한다.
 +
 +
병영성에는 3~5개의 연못이 있었다고 하는데, 기록마다 그 개수와 위치가 다르다. 발굴조사를 통해 병영교회 동북쪽에서 연못 일부를 확인하였다.
 +
 +
 +
  
  

2024년 8월 24일 (토) 15:34 판


성벽 용어 城壁 用語
Goto.png 종합안내판: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해설문

국문

‘옹성’은 성문 밖으로 성벽을 연장하여 만들어 놓은 구조물로 그 모양이 항아리(甕)를 닮아 옹성이라 부른다. 성곽 시설 중 가장 취약한 성문을 공격하거나 부수려는 적을 측면과 후방에서 입체적으로 공격하며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옹성의 출입구는 보통 지형에 따른 자연배수와 외부에서 성문이 바로 보이지 않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성문의 좌측이나 우측에 설치하지만 때로 성문과 일직선 방향에 설치하기도 한다. 병영성의 성문에는 기록상 옹성이 모두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 확인된 곳은 동문, 서문, 북문뿐이다.

‘치(雉)’는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의 접근을 사전에 관찰하고, 성벽에 접근한 적을 정면이나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는 시설물이다. 그 형태는 일반적으로 사각형(방형)이지만 반원형, 타원형도 있다. ‘雉치’는 보통 ‘꿩’을 말하지만 ‘담장(성가퀴)’을 뜻하기도 한다.

치를 설치하는 장소는 화살의 유효 사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치의 양쪽에서 적을 공격할 때 모든 성벽이 사정거리에 들어올 수 있는 간격을 고려하여 설치한다.

치는 사용 무기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부른다. 포를 설치하는 경우 포루(砲樓), 화살을 쏘는 노수(弩手)가 배치될 경우 노대(弩臺), 관측과 지휘용으로 사용할 경우 포루(鋪樓)와 장대(將臺) 등이 그것들이다.

‘해자’는 적의 접근을 막기 위해 성벽 주변에 인공으로 땅을 파서 만든 도랑이나 못을 말한다. 호(壕) 또는 호참(濠塹)이라고도 부른다. 산성이 많은 우리나라는 물을 채우지 않은 해자가 많은데, 이를 건호(乾壕) 또는 황(隍)이라고 한다. 병영성 또한 이에 해당한다.

해자는 성벽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돌을 쌓아 설치한다. 사람이 쉽게 건너거나 빠져나오기 힘든 넓이와 높이를 보이며,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해자 안에 마름쇠(菱鐵)*나 나무꼬챙이 등의 장애물을 설치하였다. 해자는 방어 목적 외에도 성벽의 기초 침하 방지, 지하수위 조절 등의 역할을 한다.

병영성의 연못에 대해서는 기록마다 차이가 있는데, 『여지도서』에는 3곳(동문 안, 남문 안과 밖), 『영남영지』에는 5곳(동문 안, 서문 안, 남문 안, 북문 안, 외성 안), 『영좌병영지도』에는 5곳(동문 안, 서문 안, 남문 안 2, 외성 안)이 있었다고 전한다. 현재 발굴조사를 통해 병영교회 동북쪽에서 연못 일부를 확인하였다.


  • 마름쇠(菱鐵): 끝이 송곳처럼 뾰족한 네 개의 발을 가진 쇠못. 도둑이나 적을 막기 위하여 흩어둠.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옹성은 성문의 방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성문 밖에 쌓은 성벽이다. 보통 성곽 시설 중 가장 취약한 곳은 성문인데, 이러한 성문을 공격하거나 부수려는 적을 측면과 후방에서 입체적으로 공격하며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옹성의 출입구는 보통 지형에 따른 자연배수와 외부에서 성문이 바로 보이지 않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성문의 좌측이나 우측에 설치하지만 때로 성문과 일직선 방향에 설치하기도 한다. 기록에 따르면 경상좌도병영성의 성문 4곳에는 모두 옹성이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 확인된 곳은 동문, 서문, 북문 뿐이다.

치(雉)는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의 접근을 사전에 관찰하고, 성벽에 접근한 적을 정면이나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게 하는 시설물이다. 치는 원래 꿩을 뜻하는데, 꿩이 몸을 잘 숨기고 엿보기를 잘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였다. 치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이지만 반원형, 타원형도 있으며, 치를 설치할 장소를 결정할 때에는 치의 양쪽에서 적을 공격할 때 모든 성벽이 사정거리에 들어올 수 있는 간격을 고려하였다. 치에서는 포와 화살 등의 무기가 사용되었고, 관측용과 장수의 지휘용으로 사용되는 치도 있었다.

해자는 적의 접근을 막기 위해 성벽 주변에 인공으로 땅을 파서 만든 도랑이나 못을 말한다. 한국의 전통 성곽은 산에 축조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 환경의 특징에 따라 물을 채우지 않은 해자가 많다. 경상좌도병영성 또한 이에 해당한다. 해자는 성벽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돌을 쌓아 설치한다. 사람이 쉽게 건너거나 빠져나오기 힘든 넓이와 높이로 만들어지며,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해자 안에 마름쇠나 나무꼬챙이 등의 장애물을 설치하였다. 해자는 방어 목적 외에도 성벽의 기초 침하 방지, 지하수위 조절 등의 역할을 한다.

병영성에는 3~5개의 연못이 있었다고 하는데, 기록마다 그 개수와 위치가 다르다. 발굴조사를 통해 병영교회 동북쪽에서 연못 일부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