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인곡서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4)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산청인곡서당.jpg
 
|사진=산청인곡서당.jpg
53번째 줄: 52번째 줄:
  
 
====2024====
 
====2024====
Ingokseodang Village Study Hall was established in 1934 by the scholar Gwon Jae-gyu (1870-1952) as a venue for teaching his students.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a study hall, an inner gate, and a shrine, which are all aligned one in front of the other.  
+
Ingokseodang Village Study Hall was established in 1934 by the scholar Gwon Jae-gyu (1870-1952) as a venue for teaching his students.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a study hall, an inner gate, and a shrine, which are all aligned one in front of the other.
  
The study hall, which measures five bays in width and two bays in depth, features underfloor-heated rooms on the right, a wood-floored hall in the center, and an elevated porch with a library on the far left. Along the facade, there is also a wood-floored veranda. Notably, the interior space of the rooms are divided into front and back sections, rather than left and right as is traditional. Along with the building's decorative detailsT, such features are characteristic of early 20th-century village study hall architecture.
+
The study hall, which measures five bays in width and two bays in depth, features underfloor-heated rooms on the right, a wood-floored hall in the center, and an elevated porch with a library on the far left. Along the facade, there is also a wood-floored veranda. Notably, the interior space of the rooms are divided into front and back sections, rather than left and right as is traditional. Along with the building’s decorative details, such features are characteristic of early 20th-century village study hall architecture.
 
 
*기능에 따라 나눈 점
 
**??? 무슨 말인지 전혀 모르겠어요.
 
*사당 담장 이야기 없어도 되겠어요.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72번째 줄: 67번째 줄:
  
 
====2024====
 
====2024====
인곡서당은 조선시대의 학자인 권재규(1870-1952)가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1934년에 세웠다.  
+
인곡서당은 조선시대의 학자인 권재규(1870-1952)가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1934년에 세웠다. 앞에서부터 정문, 서당, 내삼문, 사당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앞에서부터 정문, 서당, 내삼문, 사당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고, 사당은 별도의 담장을 둘렀다. 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의 일자형 건물이다. 서당 오른쪽에는 방을 앞뒤로 두었고, 왼쪽에는 넓은 마루와 책방을 두었다. 서당 앞면에는 개방적인 마루를 넓게 설치하였다. 이처럼 방을 앞뒤로 나란히 두고 기능에 따라 공간을 나눈 점과 세부 장식 등에서 20세기 초 서당의 건축적 특징을 볼 수 있다.  
+
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이고, 오른쪽에는 방을 앞뒤로 두었고 가운데에는 마루방을 두었으며 왼쪽에는 넓은 마루와 책방을 두었다. 서당 앞면에는 마루를 설치하였다. 이처럼 방을 앞뒤로 나란히 점과 세부 장식 등에서 20세기 초 서당의 건축적 특징을 볼 수 있다.
  
 
=='''갤러리'''==
 
=='''갤러리'''==

2024년 6월 17일 (월) 12:48 기준 최신판

산청 인곡서당
Ingokseodang Village Study Hall, Sancheong
산청 인곡서당,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산청 인곡서당
영문명칭 Ingokseodang Village Study Hall, Sancheong
한자 山淸 仁谷書堂
주소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구인동길 31-17 (강누리)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09년 7월 16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1,498㎡
웹사이트 산청 인곡서당,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2019

서당은 마을 단위로 설립한 초중등 단계의 사설교육기관이다. 산청 인곡서당은 조선말기의 유학자인 송산 권재규가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1934년에 건립한 서당이다.

산청 인곡서당은 사당, 내삼문, 서당, 대문이 일직선 위에서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학생들을 가르치는 서당 뒤로 담장을 둘러 사당을 건축하였다. 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의 ‘一’자 모양 건물이다. 오른쪽에 ‘田’자 모양의 방을 두고 맞은편에는 넓은 마루와 책방을 두었으며, 서당 앞면에는 개방적인 마루를 설치하여 남부지역의 기후를 고려한 건축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산청 인곡서당은 지붕 아래 방을 두 줄로 배열하고 기능에 따라 나눈 점, 세부장식에 있어 근대 서당의 건축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2024

산청 인곡서당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인 권재규가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1934년에 세운 교육시설이다.

인곡서당은 사당, 내삼문*, 서당, 대문이 남향으로 일직선에 있으며, 서당 건물 뒤로 담장을 둘러 사당을 세웠다. 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의 일(一) 자 모양의 건물이다. 서당의 오른쪽은 전(田) 자 모양의 방을 두고 맞은편에 넓은 마루와 책방을 두었으며, 서당 앞면에는 개방적인 마루를 넓게 설치하여 온화한 남부 지역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인곡서당은 방을 앞뒤로 나란히 두고 기능에 따라 공간을 나눈 점 및 세부 장식에서 근대 서당의 건축적 특징을 잘 보여 준다.


  • 내삼문(內三門): 바깥채 안쪽에 세 칸으로 세운 대문

영문

Ingokseodang Village Study Hall, Sancheong

2019

This village study hall was founded in 1934 by Confucian scholar Gwon Jae-gyu (1870-1952).

Born in Gangnu-ri, Gwon Jae-gyu was renowned for his distinguished academic achievement and dedicated himself to studying and educating younger students.

This building has a wooden-floored hall at the center and underfloor-heated rooms on either side. The rooms on the left are for storing books. There is also an elevated wooden porch on the front left and a narrow wooden veranda on the front right.

Behind the study hall is a shrine honoring Gwon Jae-gyu. It is called “Gyeonghyeonsa (景賢祠),” meaning “a shrine for admiring a wise man.”

2024

Ingokseodang Village Study Hall was established in 1934 by the scholar Gwon Jae-gyu (1870-1952) as a venue for teaching his students.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a study hall, an inner gate, and a shrine, which are all aligned one in front of the other.

The study hall, which measures five bays in width and two bays in depth, features underfloor-heated rooms on the right, a wood-floored hall in the center, and an elevated porch with a library on the far left. Along the facade, there is also a wood-floored veranda. Notably, the interior space of the rooms are divided into front and back sections, rather than left and right as is traditional. Along with the building’s decorative details, such features are characteristic of early 20th-century village study hall architecture.

영문 해설 내용

2019

인곡서당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인 권재규(1870-1952)가 1934년에 건립하였다.

이곳 강누리에서 태어난 권재규는 학문으로 이름이 높았으며, 평생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과 후학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서당은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방을 두었다. 오른쪽의 방은 앞쪽에 툇마루를 두었고, 왼쪽의 방은 책을 보관하는 곳으로 앞쪽에 누마루를 두었다.

인곡서당 뒤에는 권재규를 기리는 사당이 있다. 사당의 이름은 경현사(景賢祠)로 ‘현인을 우러러보는 사당’이라는 뜻이다.

2024

인곡서당은 조선시대의 학자인 권재규(1870-1952)가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1934년에 세웠다. 앞에서부터 정문, 서당, 내삼문, 사당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이고, 오른쪽에는 방을 앞뒤로 두었고 가운데에는 마루방을 두었으며 왼쪽에는 넓은 마루와 책방을 두었다. 서당 앞면에는 마루를 설치하였다. 이처럼 방을 앞뒤로 나란히 둔 점과 세부 장식 등에서 20세기 초 서당의 건축적 특징을 볼 수 있다.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