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한용운 선생 생가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한용운선생생가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400750000 한용운 선생...)
(차이 없음)

2024년 5월 17일 (금) 09:25 판


한용운 선생 생가지
한용운 선생 생가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한용운 선생 생가지
한자 韓龍雲 先生 生家地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만해로318번길 83 (성곡리)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제75호
지정일 1989년 12월 29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탄생지
수량/면적 484㎡
웹사이트 한용운 선생 생가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한용운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인 스님이다. 한용운은 고종 16년(1879)에 이곳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청주, 본명은 유천(維天)이다. 그 후 출가하여 1904년, 강원도 인제군 백담사에서 승려가 되었고, 법명은 봉완(奉琓), 법호(法號)는 용운(龍雲), 호(號)는 만해(萬海)다.

만해 한용운은 1919년 3·1 독립만세운동을 이끈 33인의 한 사람이며, 독립선언서의 공약3장을 작성하였다. 3·1 독립만세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경찰에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 1926년에는 시집《님의 침묵》을 출간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서는 등 민족정신을 깨우려고 노력하였다.

한용운은 광복 1년을 앞둔 1944년 6월 29일 서울 성북동 자택 심우장에서 향년 64세로 별세하였으며, 유골은 서울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치하였다. 사망할 때까지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전개한 애국청년운동과 일제에 맞선 독립운동 등이 인정되어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