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정읍 신잠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신잠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501050000 신잠비], 국가문화유산포...)
(차이 없음)

2024년 5월 11일 (토) 19:19 판


신잠비
신잠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신잠비
한자 申潛碑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산길 1 (태창리)
지정번호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4월 1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신잠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신잠비는 태인현감을 지낸 신잠(申潛, 1491~1554)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신잠은 조선 중종 38년(1543) 태인현감으로 부임해 6년 동안 재직하며, 각종 세금의 폐단을 바로잡고 학당을 세워 유학을 권장하는 등 고을을 잘 다스렸다.

비석은 신잠이 강원도 간성군수로 발령을 받아 떠난 명종 4년(1549)에 태인 백성들이 세웠다. 비는 받침돌 위에 비몸돌을 세웠고 비몸돌의 윗변 양 모서리는 둥글게 깎았다. 비석의 글은 좌찬성을 지낸 소세양(蘇世讓, 1486~1562)이 지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비석은 태인(지금의 정읍)의 현감을 지낸 문신 신잠(1491-1554)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549년에 세웠다. 신잠은 1543년부터 1549년까지 현감으로 재직하며, 각종 세금의 폐단을 바로잡고 학당을 세워 유학을 권장하는 등 고을을 잘 다스렸다. 그가 강원도 간성 군수로 발령을 받아 태인 지역을 떠나게 되면서 백성들이 이 비석을 세웠다.

비는 받침돌과 몸돌로 이루어져 있고, 몸돌의 윗변 양 모서리는 둥글게 깎여 있다. 비문은 문신 소세양(1486-1562)이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