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배식단(영월 장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개별안내판 |사진=장릉배식단.jpg |사진출처=[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6467 배식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
 
13번째 줄: 13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배식단은 단종에게 충절을 바친 신하들을 기리기 위해 설치한 제단이다. 제단은 정단과 별단을 구분하였으며, 별단은 공로와 신분에 따라 셋으로 나누었다. 단종이 복위된 이후, 정조 15년(1791)에 처음으로 정위 32인과 별단의 제위 198인을 지정하였다. 이 배식자 숫자는 그 후 순조 연간 이래 추가되어 268위로 증가하였다. 제향의 시일은 한식 때이며, 그 축문은 정조가 직접 지었다.  
+
배식단은 단종에게 충절을 바친 신하들을 기리기 위하여 설치한 제단이다. 정단과 별단으로 구분하였으며, 별단은 공로와 신분에 따라 셋으로 나누었다. 단종이 복위된 정조 15년(1791)에 처음으로 정단의 제위 32인과 별단의 제위 198인을 지정하였다. 이 배식자의 수는 순조가 왕위에 있던 시기에 추가되어 268위가 되었다. 제사는 한식 때 지내며, 그 축문은 정조가 직접 지은 것이다.  
  
 
===영문===
 
===영문===

2024년 2월 27일 (화) 13:07 판


배식단 配食壇
배식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Goto.png 종합안내판: 영월 장릉



해설문

국문

배식단은 단종에게 충절을 바친 신하들을 기리기 위하여 설치한 제단이다. 정단과 별단으로 구분하였으며, 별단은 공로와 신분에 따라 셋으로 나누었다. 단종이 복위된 뒤 정조 15년(1791)에 처음으로 정단의 제위 32인과 별단의 제위 198인을 지정하였다. 이 배식자의 수는 순조가 왕위에 있던 시기에 추가되어 268위가 되었다. 제사는 한식 때 지내며, 그 축문은 정조가 직접 지은 것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