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연지, 정자(의정부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연지, 정자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의정부지 |위도= |경도= }} =='''해설문'''== ==...)
 
13번째 줄: 13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의정부의 안마당을 둘러싸는 내행랑과 우물터가 있던 곳이다.
+
의정부 후원의 연못과 정자가 있던 곳이다.
  
행랑은 대문의 양쪽에 붙어 있는 복도 형태의 긴 건물로 방이나 창고로 쓰인다. 발굴조사에서 내행랑의 남-북 방향, 동-서 방향 모두 10칸씩 기둥 자리가 발굴되어 ㄴ자 형태로 꺾여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내행랑의 모습은 1908년경 광화문 밖의 여러 관아를 실측한 도면인 「광화문외 제관아 실측 평면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연못과 정자는 조선시대 대부분의 중앙 관아 후원에 있었는데, 의정부도 정본당, 석획당 뒤에 연못과 정자를 만들었다.  
  
육조거리의 관아는 모두 행랑을 두었는데, 의정부가 중건될 당시에는 외삼문과 외행랑, 중문과 내행랑이 전부 갖춰진 형태였다. 하지만 대한제국기를 거치면서 내부(內部) 청사를 짓고, 일제강점기에는 경기도청 관련 시설들이 설치되면서 원형이 심하게 훼손되었다.
+
발굴조사로 확인된 연못의 크기는 남-북 22.4m, 동-서 19.4m로 문헌에 기록된 것보다 동-서는 4m 가량 넓다. 현재 드러난 연못 동쪽 석축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조선시대의 석축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고종 대 의정부 중건 당시의 연못은 좀 더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내행랑의 남벽 바깥마당에서는 안지름이 1.1m 정도 되는 돌로 쌓은 원형 우물이 발굴되었다. 우물 주위 직경 5.3m 범위에는 바닥에 돌을 깔아서 포장했다. 우물 안에서 발굴된 유물로 보아 경기도청이 들어선 시기까지 쓰였던 우물로 보인다. 
+
기록에 따르면 연지에는 연꽃이 무성했으며 배나무가 있어서 빼어난 풍광을 자랑했다고 한다. 연지의 물은 비상시에 불을 끄는 방화수의 용도로도 쓰였다.
  
2023년 광화문 월대 동측에서 의정부의 외행랑과 관련된 기둥자리와 돌다리 등의 흔적들이 확인되었는데, 이로써 옛 의정부의 모습을 가늠해 볼 수 있다.
+
정자는 연못의 남쪽 석축과 맞닿아 있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로 추정된다. 다만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정자의 기둥 자리에는 조선 초 처음 지었을 때의 것과 고종 대에 중건할 때의 것이 뒤섞여 여러 형식의 건물 기초 유구가 발굴되었다.
  
 
===영문===
 
===영문===
29번째 줄: 29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의정부 청사 후원의 연못과 정자가 있던 곳이다. 조선시대 대부분의 중앙 관아 후원에는 연못과 정자가 조성되었는데, 의정부도 정본당과 석획당 뒤에 연못과 정자를 만들었다. 기록에 따르면 연못에는 연꽃이 무성했으며 주위에 배나무가 있어서 빼어난 풍광을 자랑했다고 한다. 연못의 물은 비상시에 불을 끄는 방화수의 용도로도 쓰였다.
  
 +
발굴조사로 확인된 연못의 크기는 남-북 길이 22.4m, 동-서 길이 19.4m로 문헌에 기록된 것보다 동-서 길이는 4m 가량 길다. 현재 드러난 연못 동쪽 석축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조선시대의 석축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19세기 중건 당시의 연못은 좀 더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정자는 연못의 남쪽 석축과 맞닿아 있다.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정자의 기둥 자리에는 조선 초 처음 지었을 때의 것과 19세기에 중건할 때의 것이 뒤섞여 여러 형식의 건물 기초 유구가 발굴되었다.
 
 
  
  
39번째 줄: 40번째 줄:
 
[[분류:서울특별시 문화유산]]
 
[[분류:서울특별시 문화유산]]
 
[[분류:사적]]
 
[[분류:사적]]
 +
[[분류:의정부지]]
 
[[분류:관아]]
 
[[분류:관아]]
 
[[분류:2023 영문집필]]
 
[[분류:2023 영문집필]]

2023년 11월 2일 (목) 20:07 판


연지, 정자
Goto.png 종합안내판: 의정부지



해설문

국문

의정부 후원의 연못과 정자가 있던 곳이다.

연못과 정자는 조선시대 대부분의 중앙 관아 후원에 있었는데, 의정부도 정본당, 석획당 뒤에 연못과 정자를 만들었다.

발굴조사로 확인된 연못의 크기는 남-북 22.4m, 동-서 19.4m로 문헌에 기록된 것보다 동-서는 4m 가량 넓다. 현재 드러난 연못 동쪽 석축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조선시대의 석축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고종 대 의정부 중건 당시의 연못은 좀 더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에 따르면 연지에는 연꽃이 무성했으며 배나무가 있어서 빼어난 풍광을 자랑했다고 한다. 연지의 물은 비상시에 불을 끄는 방화수의 용도로도 쓰였다.

정자는 연못의 남쪽 석축과 맞닿아 있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로 추정된다. 다만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정자의 기둥 자리에는 조선 초 처음 지었을 때의 것과 고종 대에 중건할 때의 것이 뒤섞여 여러 형식의 건물 기초 유구가 발굴되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의정부 청사 후원의 연못과 정자가 있던 곳이다. 조선시대 대부분의 중앙 관아 후원에는 연못과 정자가 조성되었는데, 의정부도 정본당과 석획당 뒤에 연못과 정자를 만들었다. 기록에 따르면 연못에는 연꽃이 무성했으며 주위에 배나무가 있어서 빼어난 풍광을 자랑했다고 한다. 연못의 물은 비상시에 불을 끄는 방화수의 용도로도 쓰였다.

발굴조사로 확인된 연못의 크기는 남-북 길이 22.4m, 동-서 길이 19.4m로 문헌에 기록된 것보다 동-서 길이는 4m 가량 길다. 현재 드러난 연못 동쪽 석축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조선시대의 석축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19세기 중건 당시의 연못은 좀 더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자는 연못의 남쪽 석축과 맞닿아 있다.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정자의 기둥 자리에는 조선 초 처음 지었을 때의 것과 19세기에 중건할 때의 것이 뒤섞여 여러 형식의 건물 기초 유구가 발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