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상주 청죽 성람 묘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상주청죽성람묘갈.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6930000 상주 청죽 성...)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상주청죽성람묘갈.jpg
 
|사진=상주청죽성람묘갈.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6930000 상주 청죽 성람 묘갈],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6930000 상주 청죽 성람 묘갈],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
|대표명칭=상주 청죽 성람 묘갈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
+
|한자=尙州 聽竹 成灠 墓碣
 
|주소=경상북도 상주시
 
|주소=경상북도 상주시
 
|소장처=
 
|소장처=

2023년 8월 14일 (월) 15:03 판


상주 청죽 성람 묘갈
상주 청죽 성람 묘갈,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상주 청죽 성람 묘갈
한자 尙州 聽竹 成灠 墓碣
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93호
지정일 2021년 12월 20일
분류 유물 / 일반조각 / 능묘조각 / 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상주 청죽 성람 묘갈,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묘갈비는 상주를 대표하는 조선 중기의 학자로 알려진 성람(成灠)을 기리고자 세워졌다. 성람(成灠,1556∼1620)은 의학에 밝아 많은 사람들을 치료하였는데 특히 임란 이후 향촌민들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존애원 설립 등에 크게 기여 하였다.

비문은 1650년에 조익(趙翼,1579~1655)이 지었고, 1701년에 권상하(權尙夏,1641~1721)가 추가로 기록하였다. 묘갈은 화강석 대좌와 비신 그리고 이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갈의 이수 부분에 여의주 상단 화염문과 하단 여의두문이 함께 시문된 것은 드문 예이다. 내용은 청죽 성람의 세계(世系)와 공적, 당대 문인들과의 교류 상황, 후손들의 사적 등을 기록하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