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남한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남한산성 |영문명칭=Namhansanseong Fortress |한자=南漢山城 |주소=경기도 광주시 남한산...)
(차이 없음)

2022년 9월 27일 (화) 15:28 판


남한산성
Namhansanseong Fortress
대표명칭 남한산성
영문명칭 Namhansanseong Fortress
한자 南漢山城
주소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산1
지정번호 사적 제57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608,705㎡
웹사이트 남한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남한산성은 청량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연주봉, 동쪽으로 벌봉과 한봉을 연결한다. 해발 500m 내외의 자연지형을 따라 둘레 12km가 넘는 성벽을 구축하여 많은 병력으로도 쉽게 공략할 수 없는 지리적 여건을 구비하고 있다. 동아시아 성곽 건축술의 원형과 시대별 발달을 잘 보여주는 남한산성은 672년 신라 주장성으로부터 시작하여 1624년 본격적인 축성이 이루어졌으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개·수축이 이루어졌다. 특히, 남한산성은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 당시 청 태종의 10만이 넘는 대군에 맞서 인조가 47일간 항전하였던 전쟁터였으며, 동아시아 명·청 교체기에 힘의 각축장이었다. 17세기 남한산성의 축성과 광주유수부 설치는 국토 방어와 주민 거주의 개념을 통합한 ‘산성거주론’을 실천한 처음이자 마지막 사례이다. 남한산성은 인조 2년(1624)에 축성한 이후 왕실의 보장처로서 역할을 하며, 300여년 넘게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경영한 세계사적으로 보기 힘든 초대형 산성의 사례가 되었다.

하지만, 1896년 을미의병의 거점이 된 남한산성은 1907년 일제에 의해 많은 건물이 파괴되었으며, 1917년 성내에 있던 광주군청이 산성 밖으로 이전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54년 국립공원 지정, 1971년 도립공원 지정으로, 남한산성은 정부에 의해 체계적으로 관리되기 시작하였다. 유원지로 알려졌던 남한산성은 1999년부터 시작된 경기도의 남한산성 복원 사업으로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고, 2014년 6월에 1439번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