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성 박진사 고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국문)
26번째 줄: 26번째 줄:
  
 
이 가옥은 미암산과 보잠산 사이를 흐르는 개천천 왼편의 곡저평야 남서향에 자리잡고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 2동, 곳간채 2동, 대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왼쪽에 안채 영역을 두고 우측에 사랑채 영역을 둔 병렬형 구조로, 대문을 통과해 바로 사랑채를 접하는 일반적인 구조와 달리 협문을 통해 갈 수 있는 별도의 영역에 사랑채를 배치하였다. 안채 영역은 안채와 중사랑채, 곳간채, 고방채가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문채는 솟을대문으로 효자 박효근의 행적을 기리는 붉은색 효자 정려가 있다.
 
이 가옥은 미암산과 보잠산 사이를 흐르는 개천천 왼편의 곡저평야 남서향에 자리잡고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 2동, 곳간채 2동, 대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왼쪽에 안채 영역을 두고 우측에 사랑채 영역을 둔 병렬형 구조로, 대문을 통과해 바로 사랑채를 접하는 일반적인 구조와 달리 협문을 통해 갈 수 있는 별도의 영역에 사랑채를 배치하였다. 안채 영역은 안채와 중사랑채, 곳간채, 고방채가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문채는 솟을대문으로 효자 박효근의 행적을 기리는 붉은색 효자 정려가 있다.
 +
 +
* '''이 집의 건립연대와 박효근의 생몰년 정보가 정확하지 않음. 확인 필요.'''
 +
* <font color="tomato">건립연대 확인 필요. 1850년인지 1850년대 중반인지. </font>
 +
* <font color="tomato">박효근의 생몰년이 1800~1853이라고 하는데, 이 생몰년이 맞다면 이 집에서 태어날 수 없음. 또는 이 집이 1850년에 지어졌다면, 박효근은 최소 1850년에 태어난 것인데, 아들 박한회가 1862년생임. (아래 아들 관련 자료 참조)</font>
 +
** <font color="tomato">박효근 효행관련 고문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3500000</font>
 +
** <font color="tomato">고성 창효각, 경남관광 길잡이. https://tour.gyeongnam.go.kr/index.gyeong?menuCd=DOM_000009404005001000&no=1342&page_no=57&reurl=DOM_000009404005000000</font>
 +
* <font color="tomato">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아들의 이름은 ‘박한회’임. 형재의 이름이 박영회, 박자회로 모두 ‘회’자 돌림인 것으로 보임.</font>
 +
** <font color="tomato">박기태(박한회로 개명),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82_136657&curSetPos=0&curSPos=2&category=dirSer&isEQ=false&kristalSearchArea=B </font>
 +
* <font color="tomato">위 자료에 따르면 박한회는 1862년 생이므로 박효근의 생몰년과 맞지 않음. </font>
  
 
===영문===
 
===영문===
33번째 줄: 42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 집은 밀양박씨 가문의 옛집으로 1850년에 건립되었다. 조선시대의 효자 박효근이 여기서 태어났고 아들 박한회가 1882년 진사시에 합격했기 때문에 ‘박진사 고가’라고 불린다.
  
 +
이 집은 미암산과 보잠산 사이를 흐르는 개천천 왼편의 곡저평야 남서향에 자리잡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고쳐 지었으나, 전반적으로 조선시대 사대부 가옥의 형태를 잘 갖추고 있다.
  
 
+
현재 이 집은 대문간채, 안채, 사랑채, 곳간채 2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채는 솟을대문으로 박효근의 효행을 기리는 붉은색 효자 정려가 걸려 있다. 안채 영역과 사랑채 영역은 각각 왼쪽과 오른쪽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대문을 통과하면 바로 사랑채 영역으로 들어가는 일반적인 양반 가옥과 달리, 협문을 거쳐야 사랑채 영역에 진입할 수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
* 박영회, 디지털진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jinju.grandculture.net/jinju/toc/GC00402802
  
  

2022년 5월 18일 (수) 12:13 판


고성 박진사 고가
고성 청광 박진사 고가, 고성군 문화관광.
대표명칭 고성 박진사 고가
한자 固城 朴進士 古家
주소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청광6길 25-12 (청광리)
국가유산 종목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92호
지정(등록)일 2001년 2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7동
웹사이트 고성 박진사 고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고가는 1850년 중반에 건립된 주택으로 조선 시대 사대부 가옥의 형태를 잘 갖추고 있는 밀양 박씨의 옛집이다. 조선 후기 효자 박효근(朴曉勤)이 여기서 태어났고 아들 박한희와 손자가 진사를 역임하여 ‘박진사 고가’로도 불린다.

이 가옥은 미암산과 보잠산 사이를 흐르는 개천천 왼편의 곡저평야 남서향에 자리잡고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 2동, 곳간채 2동, 대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왼쪽에 안채 영역을 두고 우측에 사랑채 영역을 둔 병렬형 구조로, 대문을 통과해 바로 사랑채를 접하는 일반적인 구조와 달리 협문을 통해 갈 수 있는 별도의 영역에 사랑채를 배치하였다. 안채 영역은 안채와 중사랑채, 곳간채, 고방채가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문채는 솟을대문으로 효자 박효근의 행적을 기리는 붉은색 효자 정려가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밀양박씨 가문의 옛집으로 1850년에 건립되었다. 조선시대의 효자 박효근이 여기서 태어났고 아들 박한회가 1882년 진사시에 합격했기 때문에 ‘박진사 고가’라고 불린다.

이 집은 미암산과 보잠산 사이를 흐르는 개천천 왼편의 곡저평야 남서향에 자리잡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고쳐 지었으나, 전반적으로 조선시대 사대부 가옥의 형태를 잘 갖추고 있다.

현재 이 집은 대문간채, 안채, 사랑채, 곳간채 2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채는 솟을대문으로 박효근의 효행을 기리는 붉은색 효자 정려가 걸려 있다. 안채 영역과 사랑채 영역은 각각 왼쪽과 오른쪽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대문을 통과하면 바로 사랑채 영역으로 들어가는 일반적인 양반 가옥과 달리, 협문을 거쳐야 사랑채 영역에 진입할 수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