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건물지(제천 장락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제천 장락사지 |위도= |경도= }} =='''해설문'''== ===국문=== ===영문...)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장락사지 제23건물지
|한자=
+
|한자=長樂寺址 第23建物址
|영문명칭=
+
|영문명칭=Building Site No. 23
 
|종합안내판=제천 장락사지
 
|종합안내판=제천 장락사지
 
|위도=
 
|위도=
12번째 줄: 1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장락사지 제23건물지는 조선 시대 중기에 세워진 9.45m 규모의 정면 3칸, 3.25m 규모의 측면 2칸인 남향 건물이 있던 자리이다. 적심석* 5기와 주춧돌 2기가 남아 있으며, 동쪽 칸에는 디딜방아의 몸체를 지탱해 주는 돌기둥인 볼씨(※디딜방아나 물레방아의 쌀개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처럼 박아 놓은 나무나 돌)가 2개 있다. 적심석 위에서 분청사기와 조선 시대 중기에 제작된 백자가 소량 나왔다. 현재는 건물지 주춧돌의 위치를 표시하여 놓았다.
 +
 +
----
 +
*적심석: 돌 따위를 쌓을 때 안쪽에 심을 박아 쌓는 돌
  
 
===영문===
 
===영문===
 +
'''Building Site No. 23'''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제23건물지는 조선시대 중기에 세워진 남향 건물이 있던 자리로, 건물 규모는 정면 9.45m, 측면 3.25m 이다. 적심석 5기와 주춧돌 2기가 남아 있으며, 동쪽 칸에는 디딜방아의 몸체를 지탱하기 위해 사용하던 돌기둥이 2개 있다. 적심석 위에서 분청사기와 조선시대 중기에 제작된 백자가 소량 나왔다. 현재는 건물지 주춧돌의 위치를 표시하여 놓았다.
 +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1년 9월 4일 (토) 13:15 판

장락사지 제23건물지 長樂寺址 第23建物址
Building Site No. 23
Goto.png 종합안내판: 제천 장락사지



해설문

국문

장락사지 제23건물지는 조선 시대 중기에 세워진 9.45m 규모의 정면 3칸, 3.25m 규모의 측면 2칸인 남향 건물이 있던 자리이다. 적심석* 5기와 주춧돌 2기가 남아 있으며, 동쪽 칸에는 디딜방아의 몸체를 지탱해 주는 돌기둥인 볼씨(※디딜방아나 물레방아의 쌀개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처럼 박아 놓은 나무나 돌)가 2개 있다. 적심석 위에서 분청사기와 조선 시대 중기에 제작된 백자가 소량 나왔다. 현재는 건물지 주춧돌의 위치를 표시하여 놓았다.


  • 적심석: 돌 따위를 쌓을 때 안쪽에 심을 박아 쌓는 돌

영문

Building Site No. 23

영문 해설 내용

제23건물지는 조선시대 중기에 세워진 남향 건물이 있던 자리로, 건물 규모는 정면 9.45m, 측면 3.25m 이다. 적심석 5기와 주춧돌 2기가 남아 있으며, 동쪽 칸에는 디딜방아의 몸체를 지탱하기 위해 사용하던 돌기둥이 2개 있다. 적심석 위에서 분청사기와 조선시대 중기에 제작된 백자가 소량 나왔다. 현재는 건물지 주춧돌의 위치를 표시하여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