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강화 교산리 고인돌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교산리고인돌군.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2300480000 교산리 고인돌군...)
 
(영문)
30번째 줄: 30번째 줄:
 
'''Dolmens in Gyosan-ri, Ganghwa'''
 
'''Dolmens in Gyosan-ri, Ganghwa'''
  
 +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dolmens in the world.
 +
 +
Most of the dolmens in Korea are either table-type or go-board-type dolmens. A table-type dolmen consists of upright stone slabs that are topped by a wide, flat capstone to create an above-ground burial chamber, whereas in a go-board-type dolmen, a large capstone is placed over small supporting stones to cover an underground burial chamber. A variant of go-board-type dolmen is an unsupported capstone-type dolmen, which consists of a capstone placed directly on top of an underground stone burial chamber.**
 +
 +
There are around 30 dolmens in  Gyosan-ri. They are the northernmost dolmens in Ganghwa area.  The 13 best preserved among the Dolmens in Gyosanri were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Those inscribed 13 dolmens, most of which are table-type or unsupported capstone-type, are divided into two smaller groups. Only some have partially damaged supporting stones or capstones.
 +
  
 +
* Did we decide to use ‘지석묘’ instead of ‘고인돌’, or are we using both terms interchangeably?
 +
* The Korean sentence introduces ‘개석식’ without mentioning it’s not a third type, it’s misleading - the first sentence of the paragraph divides dolmens in Korea roughly into two categories, and suddenly introduces a third name. That is why I added this information.
 +
* Do we know when? The general year for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Sites is 2000, right? http://whc.unesco.org/en/statesparties/KR
 +
 +
* I was thinking about the names for the types of dolmens, and I wonder what would sound more familiar to an average tourist: “go-board-type”, or “checkerboard-type” - the latter is used here: http://english.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ctgryLrcls=CTGRY166&nttId=57997&bbsId=BBSMSTR_1205&mn=EN_03_01 - even a “chess-board-type” would make sense.
 +
I know it’s maybe too late to even consider changes, and maybe it’s not that important - but go is a Japanese name for baduk, and we can’t even name it “baduk-board-type dolmen”, which makes me sad :D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1년 9월 1일 (수) 22:25 판


교산리 고인돌군
Dolmens in Gyosan-ri, Ganghwa
교산리 고인돌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교산리 고인돌군
영문명칭 Dolmens in Gyosan-ri, Ganghwa
한자 橋山里 고인돌群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교산리 산108번지 등
지정번호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8호
지정일 1999년 4월 2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시대 청동시대
수량/면적 11기 / 보호구역 287,625㎡
웹사이트 교산리 고인돌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탁자식, 기반식, 개석식의 형태를 보인다. 탁자식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지상에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방식이다. 기반식은 지하에 무덤방을 만든 후 고임돌 4~8개를 놓고 그 위에 덮개돌을 올려놓은 방법이다. 개석식은 뚜껑돌 아래에 고임돌 등과 같은 특별한 시설이 없이 지하에 무덤방을 만든 후 덮개돌을 덮는 형태이다.

교산리고인돌은 강화군에 있는 고인돌 중에서 가장 북쪽에 있다. 교산리에 분포하는 약 30기의 고인돌 중 13기의 고인돌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지정된 13기는 2개의 작은 무리로 나뉘어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 형태는 탁자식, 개석식이 중심을 이루고 고임돌과 덮개돌의 일부만 훼손되었을 뿐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영문

Dolmens in Gyosan-ri, Ganghwa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dolmens in the world.

Most of the dolmens in Korea are either table-type or go-board-type dolmens. A table-type dolmen consists of upright stone slabs that are topped by a wide, flat capstone to create an above-ground burial chamber, whereas in a go-board-type dolmen, a large capstone is placed over small supporting stones to cover an underground burial chamber. A variant of go-board-type dolmen is an unsupported capstone-type dolmen, which consists of a capstone placed directly on top of an underground stone burial chamber.**

There are around 30 dolmens in Gyosan-ri. They are the northernmost dolmens in Ganghwa area. The 13 best preserved among the Dolmens in Gyosanri were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Those inscribed 13 dolmens, most of which are table-type or unsupported capstone-type, are divided into two smaller groups. Only some have partially damaged supporting stones or capstones.


  • Did we decide to use ‘지석묘’ instead of ‘고인돌’, or are we using both terms interchangeably?
  • The Korean sentence introduces ‘개석식’ without mentioning it’s not a third type, it’s misleading - the first sentence of the paragraph divides dolmens in Korea roughly into two categories, and suddenly introduces a third name. That is why I added this information.
  • Do we know when? The general year for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Sites is 2000, right? http://whc.unesco.org/en/statesparties/KR

I know it’s maybe too late to even consider changes, and maybe it’s not that important - but go is a Japanese name for baduk, and we can’t even name it “baduk-board-type dolmen”, which makes me sad :D

영문 해설 내용

지석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구조물이다. 지석묘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는데, 한반도는 세계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이다.

한국의 지석묘는 크게 탁자식 지석묘와 바둑판식 지석묘로 구분된다. 탁자식 지석묘는 받침돌을 세워 지상에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넓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형태이고, 바둑판식 지석묘는 땅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놓은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형태이다. 개석식 지석묘는 지하의 돌방 위에 덮개돌을 바로 놓는 형태이다.

교산리에는 약 30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강화 지역에 있는 고인돌 중 가장 북쪽에 있다. 교산리 고인돌군 중 보존상태가 양호한 13기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지정된 13기는 2개의 작은 무리로 나뉘어 있고, 탁자식과 개석식이 대부분이며, 받침돌과 덮개돌의 일부만 훼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