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강혜원님이 옥천부원군조원길묘및묘표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차이 없음)

2021년 5월 25일 (화) 20:21 판


옥천부원군조원길묘및묘표
0
옥천부원군조원길묘및묘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옥천부원군조원길묘및묘표
영문명칭 0
한자 옥천부원군조원길묘및묘표
주소 0
지정번호 전라북도 기념물 제124호
지정일 2005년 12월 1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2기
웹사이트 옥천부원군조원길묘및묘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사진형태 자료. 구체적 내용 파악 불가

수정 국문

초고

조원길묘는 이건곡마을에 옥천조씨 시조의 설단(設壇)과 함께 있다. 조원길과 옥천군부인 조씨를 함께 장사한 봉토분으로 묘역의 형태와 배치가 고려시대의 능묘와 매우 유사하다. 묘는 ‘冂’ 자형의 곡장(曲牆)을 두르고 장방형의 석축을 쌓아 봉분을 만들었다. 묘 정면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있고 좌우로 장명등과 비 석, 망주와 인석을 세웠다. 묘소 아래에 있는 묘표는 비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묘표의 규모는 길이 2m, 폭 50cm, 두께 30cm이다. 마멸이 심해 비문을 식별하기 어려우나 정밀탁본을 통해 1391년 조원길 예장 당시 조원길과 옥천군부인 조씨를 함께 장사한 묘이며, 아들 조유(趙瑜)가 세웠다는 내용을 파악하였다. 조원길의 묘표가 발견되기 이전까지 전라북도에는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탑비(金堤金山寺慧德王師塔碑)가 유일한 고려시대의 비로 전해졌으나, 조원길의 묘표가 발견되면서 전라북도에 1 기의 고려시대 비가 추가되었다. 조원길의 묘와 묘표는 고려시대 묘역과 금석문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조원길(1344~1391)은 고려 말기 충신으로 정몽주·설장수와 함께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옹립한 공으로 1등공신에 책봉되어 순창의 옛이름인 옥천의 이름을 따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성계를 중심으로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순창에 농은(農隱)이라는 작은 집에서 세속을 멀리하여 은거하였다. 당대 사람들은 조원길의 충절을 일러 목은(牧隱), 포은(圃隱), 도은(陶隱), 야은(冶隱)과 함께 오은(五隱)이라 칭송하였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조원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2446

  • 향토문화전자대전 ‘옥천 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

http://sunchang.grandculture.net/sunchang/toc/GC05900816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 VdkVgwKey=23,01240000,35&pageNo=1_1_1_0

  • 향토문화전자대전 ’조원길 신도비‘

http://sunchang.grandculture.net/sunchang/toc/GC0590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