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금과들소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7번째 줄: 27번째 줄:
 
===수정 국문===
 
===수정 국문===
 
====초고====
 
====초고====
 
+
「금과 들소리」는 500여 년 전부터 순창군 금과면 매우리 매우마을을 중심으로 동전, 대장 들녘에서 불리던 농업 노동요로, 1년의 논농사 과정이 들어 있다.
 +
「금과 들소리」는 농민의 힘든 농사일을 상부상조의 품앗이로서 극복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흥겨운 농요와 풍장굿의 신명을 표출하고 있다. 그 구성으로는
 +
「물푸기 소리」, 「모찌는 소리」, 「모심기 소리[상사 소리]」, 「김매기 소리」, 「장원질 소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금과 들소리」의 가창 방식은
 +
선후창과 교환창, 그리고 제창 등을 고르게 섞어서 부른다. 이러한 「금과들소리」는 농사짓는 고된 노동의 시름을 흥겨움으로 전환하는 농민들의 긍정적 생
 +
활상이 잘 담겨 있다.
 +
「금과 들소리」는 196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기계화 영농으로 인하여 점차 잊혀져가고 있었다. 순창 농요 금과 들소리 보존회에서 이를 안타깝게 여겨, 우
 +
리 민족의 삶과 애환이 서린 「금과 들소리」를 원형 그대로 계승하여 보존하는데 힘써왔으며, 매년 모내기철인 6월 2주째 일요일에 현장에서 공연 행사를 가
 +
지고 있다. 「금과 들소리」는 2005년 3월 11일 전라북도 무형 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고, 이정호씨는 금과들소리의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1차 수정====
 
====1차 수정====
40번째 줄: 47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순창농요 금과들소리’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2764
 +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금과 들소리’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31
 +
* 향토문화전자대전 ’풍요로운 들녘을 울리는 농요, 금과 들소리‘
 +
http://sunchang.grandculture.net/sunchang/toc/GC05900821
 +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금과들소리(들소리)‘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20000,35&pageNo=1_1_1_0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1년 5월 21일 (금) 13:13 판


금과들소리(들소리)(이정호)
0
금과들소리(들소리)(이정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금과들소리(들소리)(이정호)
영문명칭 0
한자 金果들소리(들소리)(李正鎬)
주소 0
지정번호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2호
지정일 2005년 3월 11일
분류 무형문화재
시대 조선시대
웹사이트 금과들소리(들소리)(이정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사진자료 형태. 구체적 내용 파악 불가능.

수정 국문

초고

「금과 들소리」는 500여 년 전부터 순창군 금과면 매우리 매우마을을 중심으로 동전, 대장 들녘에서 불리던 농업 노동요로, 1년의 논농사 과정이 들어 있다. 「금과 들소리」는 농민의 힘든 농사일을 상부상조의 품앗이로서 극복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흥겨운 농요와 풍장굿의 신명을 표출하고 있다. 그 구성으로는 「물푸기 소리」, 「모찌는 소리」, 「모심기 소리[상사 소리]」, 「김매기 소리」, 「장원질 소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금과 들소리」의 가창 방식은 선후창과 교환창, 그리고 제창 등을 고르게 섞어서 부른다. 이러한 「금과들소리」는 농사짓는 고된 노동의 시름을 흥겨움으로 전환하는 농민들의 긍정적 생 활상이 잘 담겨 있다. 「금과 들소리」는 196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기계화 영농으로 인하여 점차 잊혀져가고 있었다. 순창 농요 금과 들소리 보존회에서 이를 안타깝게 여겨, 우 리 민족의 삶과 애환이 서린 「금과 들소리」를 원형 그대로 계승하여 보존하는데 힘써왔으며, 매년 모내기철인 6월 2주째 일요일에 현장에서 공연 행사를 가 지고 있다. 「금과 들소리」는 2005년 3월 11일 전라북도 무형 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고, 이정호씨는 금과들소리의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순창농요 금과들소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2764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금과 들소리’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31

  • 향토문화전자대전 ’풍요로운 들녘을 울리는 농요, 금과 들소리‘

http://sunchang.grandculture.net/sunchang/toc/GC05900821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금과들소리(들소리)‘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320000,35&pageNo=1_1_1_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