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초고)
35번째 줄: 35번째 줄:
 
===수정 국문===
 
===수정 국문===
 
====초고====
 
====초고====
 +
덕산사(德山寺) 비로전(毘盧殿)에 모셔져 있는 이 불상은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인 비로자나불을 나타낸 것으로, 1966년 이 지역의 불교 유적을 조사하던 학술조사단에 의해 알려지게 되었다.
  
 +
원래 지리산 중턱 석남암사지(石南巖寺址)에 방치되어 있었는데, 석남리에 거주하던 형제가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인 1947년 경 대좌와 광배를 제외한 불상만 반출해 자택에서 10여년 간 보관하다가, 1959년 내원사가 재건될 때 사찰에 양도되었다고 한다.
 +
 +
불상은 곧게 편 왼손 집게 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 지권인(智拳印)의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는 비로자나불의 특징이다. 머리에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크게 솟아있고, 목에는 번뇌, 업, 고통을 상징하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다. 이마와 눈썹 사이에 구슬 모양으로 새겨진 부분은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난 희고 빛나는 털을 나타낸 것이며, 부처의 자비가 온 세계에 비춘다는 뜻을 담고 있다. 양쪽 어깨를 덮는 법의(法衣)는 어깨와 소매의 옷주름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가 일부 남아있다. 불상은 단아한 이목구비와 당당한 모습이 돋보이지만, 오랜 시간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서 풍화로 인한 마멸이 심해진 상태이다.
 +
 +
불상이 앉아 있는 연꽃 장식의 대좌(臺座) 중간층 중앙의 구멍에서 발견된 납석사리호(蠟石舍利壺, 국보 제233-2호)의 표면에 불상의 조성과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를 통해 통일신라 때인 766년 법승(法勝)과 법연(法緣) 두 승려가 석남암사(石南巖寺, 또는 석남암수) 관음암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사리호는 현재 부산시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
이 불상은 동아시아를 통틀어 명문이 밝혀진 최초의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이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으로, 편년자료가 부족한 고대조각사 연구에도 절대적인 자료로 평가된다.
 +
 +
*이 불상을 통해 8세기 중엽경에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 불상에도 납입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 우리나라 불상 복장의 시원적 형태를 엿볼수 있다.
 +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존재가 처음 학계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6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신라오악학술조사단(新羅五岳學術調査團)은 지리산지구의 불교유적 조사를 진행하고 있었는데 이 조사에서 산청군 삼장면에 내원사라는 사찰이 있고, 그 계곡에는 신라시대의 불교 문화재들이 산재한다는 것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당시 내원사는 6.25 사변 중에 완전히 소실되었고 삼층석탑 1기와 석등하대석 등 몇 점의 석물만이 남아 있었는데 마당에 방치되어 있던 석불이 조사단 일행의 관심거리가 되었다고 한다. / 당시 내원사 주지스님의 도움으로 석불을 산중에서 반출한 당사자를 찾을 수 있었고, 당사자를 통해 석불이 내원사에 안치된 전반적인 경위가 밝혀지게 되었다. 반출 당사자는 산청군 삼장면 석남리에 거주하던 이〇〇형제로 6.25 사변이 나기 전인 1947년경에 이 석불을 보선암지라고 불리는 산중에서 반출하였다고 한다. 당시 좌대와 광배는 기존터에서 반출되지 않고 석불만 반출되었으며, 이〇〇형제는 반출한 석불을 약 10여년 동안 자택에 봉안하였다가 1959년경 내원사에 양도하였다고 한다.
 +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불상과 사리호가 각각 다른 경로로 반출되고 대좌와 광배만이 도괴되어진 상태로 기존 유지에 남아 있었다. 현재는 경남(慶南) 산청군(山淸郡) 내원사(內院寺)에 불상과 대좌, 광배가 결합된 형태로 안치되어 있으며 근래에 새로 건립된 비로전 전각 내에 모셔져 있다. 중대석 안에 납입되어 있던 납석사리호는 현재 부산시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차 수정====
 
====1차 수정====

2021년 5월 18일 (화) 00:50 판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from Seongnamamsa Temple Site, Sancheong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영문명칭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from Seongnamamsa Temple Site, Sancheong
한자 山淸 石南巖寺址 石造毘盧遮那佛坐像
주소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하내원로 256, 덕산사 (대포리)
지정번호 국보 제233-1호
지정일 2016년 1월 7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소유자 덕산사
관리자 덕산사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불상의 높이는 102cm,어께너비 52.5cm의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이다.

화강암의 불상은 곧게 편 왼손 집게 손가락을 오른손 안에 넣는 지권인(智拳印)의 비로자나불이다. 당당하고 세련된 모습이지만 마멸이 심해 자세히 알 수는 없다. 원래 석남암사터에 있었던 것을 현재의 내원사(內院寺)로 옮겨 놓았다. 육계(肉啓)가 높고 나발(螺髮)도 크지만 둥근 편이다. 단아한 눈, 단정한 코, 작고 예쁜 입, 볼록한 뺨의 양감이 돋보인다. 상체는 넓은 편이나 낮아서 대좌(臺座) 위에 앉아야 안정되게 보이도록 되어있다.

얇은 법의(法衣)가 양어깨와 전신을 두르고 있어 몸의 굴곡이 그대로 드러난다. 촘촘한 옷 주름은 흐르는 듯 아름다워 8세기 신라불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배 모양의 광배(光背)는 오른쪽 1/3가량이 파손되었다. 불상을 받치는 대좌는 연꽃봉우리의 상좌, 8각형의 중좌, 연꽃잎의 하좌로 구성되었다.

중좌 중앙의 구멍에 있었던 사리를 넣는 장치는 도난 되었다가 부산시립박물관에 보관되었다. 사리단지의 표면에 15줄 136자의 글이 새겨 있어 불상조성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알려주고 있다. 이 글에 따르면 766년 [영태 2] 에 비로자나불을 만들어 석남암사에 봉안했다고 한다. 지권인을 한 비로자나불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만든 시기가 확실한 드문 불상이다.

  • 내원사는 덕산사로 명칭 변경되었으며 (21.04) 육계(肉啓)의 한자는 육계(肉髻)임

수정 국문

초고

덕산사(德山寺) 비로전(毘盧殿)에 모셔져 있는 이 불상은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인 비로자나불을 나타낸 것으로, 1966년 이 지역의 불교 유적을 조사하던 학술조사단에 의해 알려지게 되었다.

원래 지리산 중턱 석남암사지(石南巖寺址)에 방치되어 있었는데, 석남리에 거주하던 형제가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인 1947년 경 대좌와 광배를 제외한 불상만 반출해 자택에서 10여년 간 보관하다가, 1959년 내원사가 재건될 때 사찰에 양도되었다고 한다.

불상은 곧게 편 왼손 집게 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 지권인(智拳印)의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는 비로자나불의 특징이다. 머리에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크게 솟아있고, 목에는 번뇌, 업, 고통을 상징하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다. 이마와 눈썹 사이에 구슬 모양으로 새겨진 부분은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난 희고 빛나는 털을 나타낸 것이며, 부처의 자비가 온 세계에 비춘다는 뜻을 담고 있다. 양쪽 어깨를 덮는 법의(法衣)는 어깨와 소매의 옷주름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가 일부 남아있다. 불상은 단아한 이목구비와 당당한 모습이 돋보이지만, 오랜 시간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서 풍화로 인한 마멸이 심해진 상태이다.

불상이 앉아 있는 연꽃 장식의 대좌(臺座) 중간층 중앙의 구멍에서 발견된 납석사리호(蠟石舍利壺, 국보 제233-2호)의 표면에 불상의 조성과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를 통해 통일신라 때인 766년 법승(法勝)과 법연(法緣) 두 승려가 석남암사(石南巖寺, 또는 석남암수) 관음암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사리호는 현재 부산시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이 불상은 동아시아를 통틀어 명문이 밝혀진 최초의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이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으로, 편년자료가 부족한 고대조각사 연구에도 절대적인 자료로 평가된다.

  • 이 불상을 통해 8세기 중엽경에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 불상에도 납입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 우리나라 불상 복장의 시원적 형태를 엿볼수 있다.
  •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존재가 처음 학계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6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신라오악학술조사단(新羅五岳學術調査團)은 지리산지구의 불교유적 조사를 진행하고 있었는데 이 조사에서 산청군 삼장면에 내원사라는 사찰이 있고, 그 계곡에는 신라시대의 불교 문화재들이 산재한다는 것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당시 내원사는 6.25 사변 중에 완전히 소실되었고 삼층석탑 1기와 석등하대석 등 몇 점의 석물만이 남아 있었는데 마당에 방치되어 있던 석불이 조사단 일행의 관심거리가 되었다고 한다. / 당시 내원사 주지스님의 도움으로 석불을 산중에서 반출한 당사자를 찾을 수 있었고, 당사자를 통해 석불이 내원사에 안치된 전반적인 경위가 밝혀지게 되었다. 반출 당사자는 산청군 삼장면 석남리에 거주하던 이〇〇형제로 6.25 사변이 나기 전인 1947년경에 이 석불을 보선암지라고 불리는 산중에서 반출하였다고 한다. 당시 좌대와 광배는 기존터에서 반출되지 않고 석불만 반출되었으며, 이〇〇형제는 반출한 석불을 약 10여년 동안 자택에 봉안하였다가 1959년경 내원사에 양도하였다고 한다.
  •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불상과 사리호가 각각 다른 경로로 반출되고 대좌와 광배만이 도괴되어진 상태로 기존 유지에 남아 있었다. 현재는 경남(慶南) 산청군(山淸郡) 내원사(內院寺)에 불상과 대좌, 광배가 결합된 형태로 안치되어 있으며 근래에 새로 건립된 비로전 전각 내에 모셔져 있다. 중대석 안에 납입되어 있던 납석사리호는 현재 부산시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