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하남 이성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54번째 줄: 54번째 줄:
 
[[분류:경기도 문화유산]]
 
[[분류:경기도 문화유산]]
 
[[분류:사적]]
 
[[분류:사적]]
[[분류:하남 이성산성]]
+
[[분류:하남_이성산성]]
 
[[분류:성곽]]
 
[[분류:성곽]]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2021년 4월 9일 (금) 13:09 판


하남 이성산성
Iseongsanseong Fortress, Hanam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하남 이성산성
영문명칭 Iseongsanseong Fortress, Hanam
한자 河南 二聖山城
주소 경기 하남시 춘궁동 산36번지 외
지정번호 사적 제422호
지정일 2000년 9월 16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231,313㎡
웹사이트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사적 제422호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산 36 일대

이성산성은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이성산에 있는 높이 209m의 포곡형(包谷刑) 석축(石築) 산성이다.(면적 160,361㎡ 48,509평). 이 산성은 한강에 접한 여러 성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인 중요성과, 성내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유물 등으로 인해 오래 전부터 중요시되어 왔다. 한양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986년부터 2003년까지 10차례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장방형, 9각, 8각, 12각 등의 건물지와 2개소의 저수지, 신앙유적 등의 유구가 노출되었고, “무진년정월십이일 붕남한성도사(戊辰年五月十二日 朋南漢城都使 - 608년으로 추정)”가 기록된 목간(木簡),자(尺),목제인물상, 철제농구와 무기, 벼루를 비롯한 토제품, 토기, 기와 등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성산성은 두 차례 이상 대규모의 수축을 거친 것으로 생각된다. 성을 처음 쌓은 세력이 백제 또는 고구려라는 학설도 있으나, 현재 드러낸 고고학적인 유물과 성의 구조는 신라에 의해 축성되고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1차 수정

기존 영문

Historic Site No. 422 San 36, Chungung-dong, Hanam-si, Gyeonggi-do Iseongsanseong Fortress, located on Iseongsan Mountain (209m) in Chungung-dong, Hanam-si, Gyeonggi-do, is an old defensive structure with stone walls built to protect the area (160,361㎡) containing the mountain’s summit and one of its valleys. Historians have been attracted to the fortress due to its location at a strategic point overlooking many fortifications built around the Hangang River and to the discovery of various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ifact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side the fortress. Ten excavations were conducted between 1986 and 2003 by a team of archaeologists from Hanyang University Museum, resulting in the discovery of rectangular, octagonal, nonagonal and dodecagonal building sites, (the remains of two reservoirs, evidence of religious activities, a wooden strip marked with the following inscription <戊辰年五月十二日 朋南漢城都使>, which is thought to be related with the year 603, and wooden strips, a ruler, wooden figurines, iron farming tools and weapons, earthenware objects including an inkstone, pottery, and roof tile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fortress underwent at least two major renovations. Some scholars believe that the fortress was originally built by either Baekje or Goguryeo, but archaeological findings, as well as the remaining architectural structure, show that it was built and used by Silla.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