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영주향교 대성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영주향교대성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4560000 영주향교 대성전...)
 
4번째 줄: 4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4560000 영주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4560000 영주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영주향교 대성전
 
|대표명칭=영주향교 대성전
|영문명칭=
+
|영문명칭=Daeseongjeon Shrine of 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榮州鄕校 大成殿
 
|한자=榮州鄕校 大成殿
 
|주소=경상북도 영주시 명륜길 76 (하망동, 영주향교)
 
|주소=경상북도 영주시 명륜길 76 (하망동, 영주향교)
32번째 줄: 32번째 줄:
  
 
===영문===
 
===영문===
 
+
'''Daeseongjeon Shrine of 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대성전은 향교에서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공간이다.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으로,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역 학생들에게 유교를 가르쳤다.
 
대성전은 향교에서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공간이다.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으로,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역 학생들에게 유교를 가르쳤다.
  
영주향교는 1371년 이곳에 부임한 하륜이 창건했다고 전하며, 1433년과 1577년에 중수되었다. 이후로도 여러 차례 향교의 다른 건물들이 중수되었으며, 대성전도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
영주향교는 1371년 영주에 부임한 하륜(1347-1416)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조선의 개국공신인 정도전(1342-1398)이 쓴 그의 아버지 정운경(1305-1366)의 행장에는 정운경이 영주향교에서 공부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더 앞선 시기에 이미 영주향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향교는 문루, 강당인 명륜당, 기숙사인 동·서재, 내삼문, 사당인 대성전과 동·서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주향교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 39분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해마다 봄과 가을에 이들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다.
 
  
*향교 앞에 학교가 세워지면서 향교의 일부 건물들이 학교 교실로 운영되기도 하였다.
+
대성전은 1502년에 처음 지은 후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해마다 봄과 가을에 이들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다.
  
=='''참고 자료'''==
+
=='''참고자료'''==
 
*영주향교 대성전, 영주시 문화관광 https://www.yeongju.go.kr/open_content/tour/page.do?mnu_uid=1225&tree_uid=63&tsite_uid=184&step=2 -> 현재 향교에는 오성, 십철, 송조육현,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영주향교 대성전, 영주시 문화관광 https://www.yeongju.go.kr/open_content/tour/page.do?mnu_uid=1225&tree_uid=63&tsite_uid=184&step=2 -> 현재 향교에는 오성, 십철, 송조육현,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영주향교 대성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3312
 
*영주향교 대성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3312

2021년 3월 21일 (일) 15:08 판


영주향교 대성전
Daeseongjeon Shrine of 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영주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영주향교 대성전
영문명칭 Daeseongjeon Shrine of 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 榮州鄕校 大成殿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명륜길 76 (하망동, 영주향교)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6호
지정일 2012년 10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영주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향교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세운 지방 교육 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영주향교는 고려 공민왕 20년(1371)에 지영주군사로 부임한 하륜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정도전이 쓴 정운경의 행장에는 정운경이 10여 세의 나이 때 영주향교를 출입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이보다 앞선 시기에 영주향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 건물로는 제향공간인 대성전과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있다. 이외에 성현들의 제사를 지내는 동무와 서무, 유생들이 생활하는 공간인 동재와 서재를 비롯한 여러 부속 건물이 있다.

대성전은 6칸 규모의 전각으로, 공자와 4성현인 안자, 자사, 증자, 맹자를 비롯한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연산군 8년(1502)에 처음 지은 후 여러 차례 고쳐 지으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며,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부리 모양으로 장식한 익공양식이다.

영문

Daeseongjeon Shrine of 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영문 해설 내용

대성전은 향교에서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공간이다.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으로,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역 학생들에게 유교를 가르쳤다.

영주향교는 1371년 영주에 부임한 하륜(1347-1416)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조선의 개국공신인 정도전(1342-1398)이 쓴 그의 아버지 정운경(1305-1366)의 행장에는 정운경이 영주향교에서 공부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더 앞선 시기에 이미 영주향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향교는 문루, 강당인 명륜당, 기숙사인 동·서재, 내삼문, 사당인 대성전과 동·서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성전은 1502년에 처음 지은 후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해마다 봄과 가을에 이들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