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제천 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 유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42번째 줄: 42번째 줄:
 
The remains include one dwelling site and three fire pit sites which were used either for heating or cooking. The dwelling was circular in shape with a diameter of around 4.5 m. The circumference of the dwelling was lined with 16 postholes into which the building's wooden pillars were erected.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Jeulmun pottery and charcoal. Based on the carbon dating of the charcoal, the site was in use around 2050 BCE.  
 
The remains include one dwelling site and three fire pit sites which were used either for heating or cooking. The dwelling was circular in shape with a diameter of around 4.5 m. The circumference of the dwelling was lined with 16 postholes into which the building's wooden pillars were erected.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Jeulmun pottery and charcoal. Based on the carbon dating of the charcoal, the site was in use around 2050 BCE.  
  
*Land Compartmentalization and Rearrangement Project - 이게 공식 법령 명칭인가봐요[[사용자:Lyndsey|Lyndsey]] ([[사용자토론:Lyndsey|토론]])
+
*Land Compartmentalization and Rearrangement Project - 이게 공식 법령 명칭인가봐요
 
*제천의 내륙 지방
 
*제천의 내륙 지방
 
**제천은 다 내륙인데요? 무슨 말이죠???
 
**제천은 다 내륙인데요? 무슨 말이죠???

2021년 3월 15일 (월) 09:47 판


제천 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 유구
대표명칭 제천 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 유구
한자 堤川 新月土地區劃整理事業地區 內 遺構



해설문

국문

제천 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 유구*는 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 추진에 따른 문화재 발굴 조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현재의 제천 신월부영사랑으로아파트 부지 내에 있었으나 2003년 신월동 1276번지로 유구를 본 떠 이전·복원하였고 2021년에 다시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유구는 주거지 1기와 노지爐址 3기로 구성되어 있다. 주거지는 원형으로 직경이 약 455cm이며, 건물의 기둥을 세우려고 파 놓은 구멍주혈 총 16개가 주거지의 가장자리에서 확인되었다. 노지는 난방을 하거나 음식을 마련할 때 불을 피우던 자리이다.

주거지와 노지에서는 빗살무늬 토기 조각과 숯이 출토되었는데, 숯은 기원전 2050년 정도에 만들어진 것이다.

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 유구는 제천의 내륙 지방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신석기 시대 주거지라는 점에서 선사 시대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는 유구이다.


  • 유구: 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

영문

  • 제천 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 유구
  • Archeological Remains from the Sinwol Land Compartmentalization and Rearrangement Project Zone, Jecheon

These are the remains of a dwelling site from the Neolithic period (8000–1500 BCE) that was discovered in 1998 in the Sinwol area during a land redevelopment project. The remains were relocated once in 2003 to the Sinwol-dong Archeological Site Exhibit and again in 2021 to the Uirimji History Museum. An apartment complex now stands on the original archeological site, which is located around 1.5 km to the southwest of the museum. As the first Neolithic dwelling site to be discovered in the inland region of Jecheon, it is a valuable resource in the understanding of Neolithic culture.

The remains include one dwelling site and three fire pit sites which were used either for heating or cooking. The dwelling was circular in shape with a diameter of around 4.5 m. The circumference of the dwelling was lined with 16 postholes into which the building's wooden pillars were erected.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Jeulmun pottery and charcoal. Based on the carbon dating of the charcoal, the site was in use around 2050 BCE.

  • Land Compartmentalization and Rearrangement Project - 이게 공식 법령 명칭인가봐요
  • 제천의 내륙 지방
    • 제천은 다 내륙인데요? 무슨 말이죠???
  • 첫문장에 어떤 유적인지 넣으면 좋을 것 같아서 그렇게 했어요.
  • 노지, 화덕의 번역은.... fire pit, hearth, place where a firepot was located, fireplace? 어떻게 할까요?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의 유구는 1998년 제천시 신월지구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원래 이곳에서 남서쪽으로 1.5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으나, 2003년 발견 당시의 모습대로 신월동 유적전시관 자리에 옮겨놓았다가, 2021년에 다시 지금 위치인 의림지 역사박물관(Uirimji History Museum)으로 옮겼다. 제천의 내륙 지방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신석기시대 주거지 유적이라는 점에서 선사시대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유적이다.

유구는 주거지 1기와 난방을 하거나 음식을 마련할 때 불을 피우던 자리(노지) 3기로 구성되어 있다. 주거지는 원형으로 직경이 약 4.5m이며, 가장자리에서는 건물의 기둥을 세우려고 파 놓은 구멍 총 16개가 확인되었다. 유구에서는 빗살무늬 토기 조각과 숯이 출토되었는데, 숯은 기원전 2050년 정도에 만들어진 것이다.

  • 처음 발견된 곳은 지금 "제천신월부영사랑으로아파트"가 있음.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