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익산 미륵사지 |위도= |경도= }} =='''해설문'''== ===국문=== ===영...)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한자=
+
|한자=益山 彌勒寺址 幢竿支柱
|영문명칭=
+
|영문명칭=Flagpole Supports at Mireuksa Temple Site, Iksan
 
|종합안내판=익산 미륵사지
 
|종합안내판=익산 미륵사지
 
|위도=
 
|위도=
12번째 줄: 1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보물 제236호
  
 +
당간(幢竿)은 절에서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 길쭉한 깃대로 주로 사찰의 입구에 세워 신성한 공간을 표시한다. 불법(佛法)을 밝히는 깃발(幢), 깃발을 다는 깃대(竿), 이 들을 받쳐주는 지주(幢竿支柱)로 구성되어 있다. 후대 남회랑 안마당에 약 90m의 간격을 두고 당간지주 2기가 남아 있으며, 크기와 형태 및 제작 기법이 같다. 현재 당간은 사라지고 지주만 남아 있는데 미륵사지 서탑을 해체할 때 탑 내부에서 출토된 당간 형태의 석재를 통해 당간을 돌로 만든 것임을 알 수 있다. 지주의 높이는 약 4.5m이고, 바깥면에는 가장자리와 중앙에 띠가 있다. 지주의 안쪽에는 당간을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다. 지주 아래에는 기단을 만들고, 기단 각 면에 무늬를 조각하였다.
  
 
===영문===
 
===영문===
''''''
+
'''Flagpole Supports at Mireuksa Temple Site, Iksan'''
 +
 
 +
Flagpole supports are a pair of stone pillars set up to support a flagpole which was used to mark Buddhist temple precincts by hanging flags or to celebrate special events and large gatherings by hanging banners.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1년 1월 31일 (일) 16:16 판

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益山 彌勒寺址 幢竿支柱
Flagpole Supports at Mireuksa Temple Site, Iksan
Goto.png 종합안내판: 익산 미륵사지



해설문

국문

  • 보물 제236호

당간(幢竿)은 절에서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 길쭉한 깃대로 주로 사찰의 입구에 세워 신성한 공간을 표시한다. 불법(佛法)을 밝히는 깃발(幢), 깃발을 다는 깃대(竿), 이 들을 받쳐주는 지주(幢竿支柱)로 구성되어 있다. 후대 남회랑 안마당에 약 90m의 간격을 두고 당간지주 2기가 남아 있으며, 크기와 형태 및 제작 기법이 같다. 현재 당간은 사라지고 지주만 남아 있는데 미륵사지 서탑을 해체할 때 탑 내부에서 출토된 당간 형태의 석재를 통해 당간을 돌로 만든 것임을 알 수 있다. 지주의 높이는 약 4.5m이고, 바깥면에는 가장자리와 중앙에 띠가 있다. 지주의 안쪽에는 당간을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다. 지주 아래에는 기단을 만들고, 기단 각 면에 무늬를 조각하였다.

영문

Flagpole Supports at Mireuksa Temple Site, Iksan

Flagpole supports are a pair of stone pillars set up to support a flagpole which was used to mark Buddhist temple precincts by hanging flags or to celebrate special events and large gatherings by hanging banners.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