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터(익산 왕궁리 유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익산 왕궁리 유적 |위도= |경도= }} =='''해설문'''== ===국문=== ===...)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건물터
 
|한자=
 
|한자=
|영문명칭=
+
|영문명칭=Building Sites
 
|종합안내판=익산 왕궁리 유적
 
|종합안내판=익산 왕궁리 유적
 
|위도=
 
|위도=
12번째 줄: 1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왕궁리 유적지의 건물터는 대개 동서 방향의 석축들 앞에 있다. 건물터는 사찰 이전의 왕궁 건물터와 사찰 건물터에서 50여 곳이 발견되었다. 이곳에서는 땅을 파서 다지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은 토심(土心)구조, 나무와 흙으로 단을 올린 토축(土築) 기단 구조, 건물 바닥을 지면에서 띄워서 지은 굴립주(屈笠柱) 건물 구조를 볼 수 있다. 이 세 유형의 건물터는 당시 건축 기술을 알아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영문===
 
===영문===
''''''
+
'''Building Sites'''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1년 1월 31일 (일) 15:29 판

건물터
Building Sites
Goto.png 종합안내판: 익산 왕궁리 유적



해설문

국문

왕궁리 유적지의 건물터는 대개 동서 방향의 석축들 앞에 있다. 건물터는 사찰 이전의 왕궁 건물터와 사찰 건물터에서 50여 곳이 발견되었다. 이곳에서는 땅을 파서 다지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은 토심(土心)구조, 나무와 흙으로 단을 올린 토축(土築) 기단 구조, 건물 바닥을 지면에서 띄워서 지은 굴립주(屈笠柱) 건물 구조를 볼 수 있다. 이 세 유형의 건물터는 당시 건축 기술을 알아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영문

Building Sites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