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건물터22(익산 왕궁리 유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익산 왕궁리 유적 |위도= |경도= }} =='''해설문'''== ===국문=== ===...)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정전 건물터22
 
|한자=
 
|한자=
|영문명칭=
+
|영문명칭=Building Site No. 22 (Throne Hall)
 
|종합안내판=익산 왕궁리 유적
 
|종합안내판=익산 왕궁리 유적
 
|위도=
 
|위도=
12번째 줄: 1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이 곳은 왕궁리 유적에서 가장 큰 건물터이다. 크기는 정면 7칸(35.5m), 측면 4칸(18.5m)으로 남문터와 함께 왕궁의 남북 중심축에 있다. 건물터의 크기, 건축 기법, 위치로 볼 때 내전이나 조회‧제례를 치르는 전각으로 추정된다. 독특한 건축 기법으로 커다란 구덩이를 판 후 속에 점토를 단단히 다지고 위에 기둥을 세운 토심(土心)구조가 사용되었다.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도 이와 규모와 건축 기법이 비슷한 건물터가 발견되었다.
  
 
===영문===
 
===영문===
''''''
+
'''Building Site No. 22 (Throne Hall)'''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1년 1월 31일 (일) 15:21 판

정전 건물터22
Building Site No. 22 (Throne Hall)
Goto.png 종합안내판: 익산 왕궁리 유적



해설문

국문

이 곳은 왕궁리 유적에서 가장 큰 건물터이다. 크기는 정면 7칸(35.5m), 측면 4칸(18.5m)으로 남문터와 함께 왕궁의 남북 중심축에 있다. 건물터의 크기, 건축 기법, 위치로 볼 때 내전이나 조회‧제례를 치르는 전각으로 추정된다. 독특한 건축 기법으로 커다란 구덩이를 판 후 속에 점토를 단단히 다지고 위에 기둥을 세운 토심(土心)구조가 사용되었다.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도 이와 규모와 건축 기법이 비슷한 건물터가 발견되었다.

영문

Building Site No. 22 (Throne Hall)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