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진주 오방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오방재.jpg |사진출처=[ https://www.jinju.go.kr/02793/02258/02286.web?amode=view&idx=41 진주 오방리 오방재], 진주 관...)
 
2번째 줄: 2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오방재.jpg
 
|사진=진주오방재.jpg
|사진출처=[ https://www.jinju.go.kr/02793/02258/02286.web?amode=view&idx=41 진주 오방리 오방재], 진주 관광, 진주시청.
+
|사진출처=[https://www.jinju.go.kr/02793/02258/02286.web?amode=view&idx=41 진주 오방리 오방재], 진주 관광, 진주시청.
 
|대표명칭=진주 오방재
 
|대표명칭=진주 오방재
|영문명칭=
+
|영문명칭=Obangjae Ritual House, Jinju
 
|한자=晉州 梧坊齋
 
|한자=晉州 梧坊齋
 
|주소=경상남도 진주시 오방로 765-82 (미천면)
 
|주소=경상남도 진주시 오방로 765-82 (미천면)
32번째 줄: 32번째 줄:
  
 
===영문===
 
===영문===
 
+
'''Obangjae Ritual House, Jinju'''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하시원과 하윤린, 하륜 3대의 무덤에 올리는 제사를 준비하는 재사이다.
+
이곳은 조선시대의 문신 하륜(1347-1416), 할아버지 하시원(?-1360), 아버지 하윤린(1321-1380)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준비하기 위해 지은 재실이다. 뒷산에 3대의 무덤(경상남도 기념물 제41호)있다.
 
 
1450년에 처음 세워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임진왜란으로 건물이 불에 타 사라진 것을 1624년에 새로 짓고 1704년에 다시 지었다. / 하륜의 사위였던 이승간의 후손 이준민(1524-1590)이 1587년에 다시 지은 것은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었다. 이후 1684년 후손 하윤관이 다시 지었으며, 1764년에도 중수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1930년에 고쳐 지은 것이다. 경내에는 오방재 오른쪽에 자리한 하윤린 신도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가 있는 신도비각, 행랑채 등의 건물 3동이 더 있다.  
 
  
뒷산에 진양 하씨 3대의 무덤(진주 하륜 묘역, 경상남도 기념물 제41호)이 있다.
+
이 재실은 1450년 무렵에 처음 세웠고,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이후 다시 짓고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1930년에 지은 것이다.  
  
*'''변천 관련 시기 문제(심각...)''' - 기존 문안의 변천 시점은 진주 관광 내용과 동일하나, ‘방손 일호(一浩)’라고 명시된 하일호의 생년이 1717년이므로 1704년 중수 기록은 근거 확인 필요해 보임.  
+
경내에는 행랑채와 하윤린 신도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 등이 있다.  
*앞쪽에는 대청마루를 두고 뒤쪽에 방이 있는 구조. - 중앙의 방은 마루방으로 보이며, 뒤쪽에도 툇마루를 두었음. (블로그 사진 참조)
 
  
=='''참고 자료'''==
+
=='''참고자료'''==
 
*진주 오방재, 디지털진주문화대전  http://jinju.grandculture.net/jinju/search/GC00430024?keyword=%EC%98%A4%EB%B0%A9%EC%9E%AC&page=1 -> 진주 오방재는 하시원, 하윤린, 하륜의 묘제(墓祭)를 올리는 재실이며 하륜의 사위 경상 좌도 병마절도사 이승간(李承幹)의 후손 의정부 좌참찬(左叅贊) 신암(新菴) 이준민(李俊民)[1524~1590]이 1587년 건립하였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타버리자, 1684년 인재(忍齋) 하윤관(河潤寬)[1677~1745]이 이준민의 후손 이수하와 함께 중수하였고 1764년 다시 세웠다. 이에 관한 내용이 방계 후손 죽와(竹窩) 하일호(河一浩)[1717~1796]의 오방재 중수기에 기록되어 있다.  
 
*진주 오방재, 디지털진주문화대전  http://jinju.grandculture.net/jinju/search/GC00430024?keyword=%EC%98%A4%EB%B0%A9%EC%9E%AC&page=1 -> 진주 오방재는 하시원, 하윤린, 하륜의 묘제(墓祭)를 올리는 재실이며 하륜의 사위 경상 좌도 병마절도사 이승간(李承幹)의 후손 의정부 좌참찬(左叅贊) 신암(新菴) 이준민(李俊民)[1524~1590]이 1587년 건립하였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타버리자, 1684년 인재(忍齋) 하윤관(河潤寬)[1677~1745]이 이준민의 후손 이수하와 함께 중수하였고 1764년 다시 세웠다. 이에 관한 내용이 방계 후손 죽와(竹窩) 하일호(河一浩)[1717~1796]의 오방재 중수기에 기록되어 있다.  
 
*진주 오방리 오방재, 진주 관광    https://www.jinju.go.kr/02793/02258/02286.web?amode=view&idx=410 -> 이미지 출처 /  기문(記文)에 의하면 창건연대는 1450년대 중엽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창건자는 남명 조식의 생질인 신암 이준민(1524~1591)이다. 처음 창건되고 나서 임진왜란으로 전소되고 다시 1624년에 중건하고 다시 1704년에 방손 일호(一浩)대에 이르러 중수하고 기문을 적었다. 이 기문에 보면 방손 일호와 이광태가 힘을 합하여 중수하고 얼마 있지 않아 응석사 건물하나를 사서 그 목재로 수리하였는데 이때는 외손인 이광태와 장우규와 친족들이 힘을 합하여 수리하였다고 적고 있다.  
 
*진주 오방리 오방재, 진주 관광    https://www.jinju.go.kr/02793/02258/02286.web?amode=view&idx=410 -> 이미지 출처 /  기문(記文)에 의하면 창건연대는 1450년대 중엽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창건자는 남명 조식의 생질인 신암 이준민(1524~1591)이다. 처음 창건되고 나서 임진왜란으로 전소되고 다시 1624년에 중건하고 다시 1704년에 방손 일호(一浩)대에 이르러 중수하고 기문을 적었다. 이 기문에 보면 방손 일호와 이광태가 힘을 합하여 중수하고 얼마 있지 않아 응석사 건물하나를 사서 그 목재로 수리하였는데 이때는 외손인 이광태와 장우규와 친족들이 힘을 합하여 수리하였다고 적고 있다.  
 +
**'''변천 관련 시기 문제(심각...)''' - 기존 문안의 변천 시점은 진주 관광 내용과 동일하나, ‘방손 일호(一浩)’라고 명시된 하일호의 생년이 1717년이므로 1704년 중수 기록은 근거 확인 필요해 보임.
 
*진주가볼만한곳 오방조선조고분군, 하륜 묘, 여행 같은 산행, 네이버 블로그
 
*진주가볼만한곳 오방조선조고분군, 하륜 묘, 여행 같은 산행,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mmundi/221053049066 -> 건물 배면 사진
 
https://blog.naver.com/mmundi/221053049066 -> 건물 배면 사진

2020년 12월 20일 (일) 16:52 판


진주 오방재
Obangjae Ritual House, Jinju
진주 오방리 오방재, 진주 관광, 진주시청.
대표명칭 진주 오방재
영문명칭 Obangjae Ritual House, Jinju
한자 晉州 梧坊齋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오방로 765-82 (미천면)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35호
지정일 2008년 2월 5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산신당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진주 오방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오방재는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 하시원(河恃源),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 하윤린(河允潾),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하륜(河崙)의 묘사*(墓祀)를 위한 곳이다.

기문(記文)에 따르면 1450년쯤에 처음 세웠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고 1624년에 새로 짓고 1704년에 다시 지었다.

지금의 본채 건물은 1930년에 다시 고쳐 지은 것이고 양쪽 행랑채는 최근에 지은 것이다. 오른쪽에는 하윤린신도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가 있다.


  • 묘사 : 무덤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

영문

Obangjae Ritual House, Jinju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조선시대의 문신 하륜(1347-1416), 할아버지 하시원(?-1360), 아버지 하윤린(1321-1380)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준비하기 위해 지은 재실이다. 뒷산에 3대의 무덤(경상남도 기념물 제41호)이 있다.

이 재실은 1450년 무렵에 처음 세웠고,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이후 다시 짓고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1930년에 지은 것이다.

경내에는 행랑채와 하윤린 신도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 등이 있다.

참고자료

  • 진주 오방재, 디지털진주문화대전 http://jinju.grandculture.net/jinju/search/GC00430024?keyword=%EC%98%A4%EB%B0%A9%EC%9E%AC&page=1 -> 진주 오방재는 하시원, 하윤린, 하륜의 묘제(墓祭)를 올리는 재실이며 하륜의 사위 경상 좌도 병마절도사 이승간(李承幹)의 후손 의정부 좌참찬(左叅贊) 신암(新菴) 이준민(李俊民)[1524~1590]이 1587년 건립하였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타버리자, 1684년 인재(忍齋) 하윤관(河潤寬)[1677~1745]이 이준민의 후손 이수하와 함께 중수하였고 1764년 다시 세웠다. 이에 관한 내용이 방계 후손 죽와(竹窩) 하일호(河一浩)[1717~1796]의 오방재 중수기에 기록되어 있다.
  • 진주 오방리 오방재, 진주 관광 https://www.jinju.go.kr/02793/02258/02286.web?amode=view&idx=410 -> 이미지 출처 / 기문(記文)에 의하면 창건연대는 1450년대 중엽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창건자는 남명 조식의 생질인 신암 이준민(1524~1591)이다. 처음 창건되고 나서 임진왜란으로 전소되고 다시 1624년에 중건하고 다시 1704년에 방손 일호(一浩)대에 이르러 중수하고 기문을 적었다. 이 기문에 보면 방손 일호와 이광태가 힘을 합하여 중수하고 얼마 있지 않아 응석사 건물하나를 사서 그 목재로 수리하였는데 이때는 외손인 이광태와 장우규와 친족들이 힘을 합하여 수리하였다고 적고 있다.
    • 변천 관련 시기 문제(심각...) - 기존 문안의 변천 시점은 진주 관광 내용과 동일하나, ‘방손 일호(一浩)’라고 명시된 하일호의 생년이 1717년이므로 1704년 중수 기록은 근거 확인 필요해 보임.
  • 진주가볼만한곳 오방조선조고분군, 하륜 묘, 여행 같은 산행,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mmundi/221053049066 -> 건물 배면 사진

  • 하륜의 묘와 재실 오방재, 바위솔,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baweesol44/8873377 -> 2019년 사진. 비각과 오방재 사이 새로운 건물을 ‘영각’이라 지칭 (상세 정보 확인 어려워 추가확인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