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의상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의상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200480000 의상대], 국가문화유산포...)
(차이 없음)

2020년 11월 17일 (화) 04:06 판


의상대
Uisangdae Pavilion
의상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의상대
영문명칭 Uisangdae Pavilion
한자 義湘臺
지정번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8호
지정일 1974년 9월 9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의상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의상대는 낙산사를 창건한 의상대사를 기념하기 위해 만해 한용운 스님이 쓴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에 의하면 1925년에 만든 정자이다. 원래 이곳은 의상대사가 낙산사를 지을 당시 머무르면서 참선하였던 곳으로 옛날부터 의상대라고 불렸다고 한다. 이 정자는 낙산사에서 홍련암 관음굴로 가는 길 해안 언덕에 있어 좋은 전망대 역할을 하고 있다. 평면은 육각이고, 크기는 작은 편이다.

의상대와 홍련암 일대는 관동팔경* 가운데 하나로 동해 해돋이로 유명하며 의상대사와 관련한 많은 전설이 전한다. 또한 동해안 절벽에 위치하여 바닷가 절경을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주변의 해안 절벽과 오래된 소나무 등이 사찰과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어 명승 제27호 「양양 낙산사 의상대와 홍련암」으로 지정되어 있다.


  • 관동팔경(關東八景): 강원도 동해안에 있는 여덟 곳의 명승지.

영문

Uisangdae Pavilion


영문 해설 내용

의상대는 671년 낙산사를 창건한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의상(625-702)을 기념하기 위해 1925년에 지은 정자이다. 정자가 위치한 곳은 원래 의상대사가 머무르며 참선하던 곳으로, 정자가 있기 전부터도 의상대라고 불렸다고 한다.

의상대와 홍련암 일대는 강원도 동해안에 있는 여덟 곳의 명승지 중 하나이며, 동해의 해돋이를 볼 수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주변의 해안 절벽과 오래된 소나무 등이 사찰과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어 2007년 명승 제27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