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양사언 선생 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 1517~1584)의 묘이다.
  
===수정 국문===
+
양사언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조선시대 3대 명필이고 대문장가이다. 금수정 주변 영평천변에 많은 암각문이 전하고 있으며, 단사부(丹沙賦)와 열운정기(閱雲亭記)는 남기신 명작들이다.
====초고====
 
  
====1차 수정====
+
금강산 만폭동의 바위에 새긴 봉래풍악원화동천(蓬萊楓嶽元化洞天)이란 글씨는 현재까지도 칭송이 자자하다.
 +
 
 +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라는 시조는 만인의 사랑을 받으며 선생의 시는 꾸밈이 없어 천의무봉(天衣無縫)하다는 평을 받는다.
 +
 
 +
선생은 1546년(명종1) 문과에 급제한 후 안변대도호부사를 역임하기까지 여덟 고을을 다스렸는데 가는 곳마다 선정을 베풀어 곳곳마다 떠난 후에 거사비(去思碑)가 세워졌다.
 +
 
 +
묘의 봉분 앞에는 연꽃무늬를 조각한 묘비가 있고 상석·향로석·동자석·망주석 등의 석물이 조성되어 있다. 묘소 하단에는 숙부인 음성박씨와 간성이씨의 합장으로 봉분을 조성해 놓았다.
  
 
===영문===
 
===영문===
33번째 줄: 39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참고 자료==
+
=='''참고 자료'''==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0년 6월 29일 (월) 16:52 판


양사언 선생 묘
디지털포천문화대전
대표명칭 양사언 선생 묘
한자 楊士彦 先生 墓
주소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길명리 산193
지정번호 포천시 향토유적 제32호
지정일 1986년 4월 9일
소유자 사유



해설문

국문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 1517~1584)의 묘이다.

양사언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조선시대 3대 명필이고 대문장가이다. 금수정 주변 영평천변에 많은 암각문이 전하고 있으며, 단사부(丹沙賦)와 열운정기(閱雲亭記)는 남기신 명작들이다.

금강산 만폭동의 바위에 새긴 봉래풍악원화동천(蓬萊楓嶽元化洞天)이란 글씨는 현재까지도 칭송이 자자하다.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라는 시조는 만인의 사랑을 받으며 선생의 시는 꾸밈이 없어 천의무봉(天衣無縫)하다는 평을 받는다.

선생은 1546년(명종1) 문과에 급제한 후 안변대도호부사를 역임하기까지 여덟 고을을 다스렸는데 가는 곳마다 선정을 베풀어 곳곳마다 떠난 후에 거사비(去思碑)가 세워졌다.

묘의 봉분 앞에는 연꽃무늬를 조각한 묘비가 있고 상석·향로석·동자석·망주석 등의 석물이 조성되어 있다. 묘소 하단에는 숙부인 음성박씨와 간성이씨의 합장으로 봉분을 조성해 놓았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