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춘 가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이영춘가옥.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2000000 이영춘 가옥], 국가문화유산포...)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기존 국문===
 
+
없음.
  
 
===수정 국문===
 
===수정 국문===
 
====초고====
 
====초고====
 +
이 집은 전북 지역의 대지주였던 구마모토가 1920년경 지은 별장 저택으로 해방 후에는 구마모토 농장의 진료소장으로 있었던 이영춘 박사(李永春, 1903~1980)가 살았던 가옥이다. 이영춘 박사는 1929년 세브란스 의전을 졸업하고 1935년 교토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구마모토 농장의 직영 의료원인 자혜진료소에 부임했다. 해방 후 개정 중앙병원, 한국농촌위생원, 개정 간호전문대학, 개정 뇌병원, 시그레이브 기념병원, 일심·일맥영아원 등 수많은 학교와 의료 사회복지시설을 설립하였다.
 +
 +
이영춘 가옥은 단층의 목조 건축물로 서구식·일식·한옥의 건축양식이 절충된 집이다, 외형은 유럽의 주거형식을 띄고 있으며, 내부는 일본식 중복도형을 바탕으로 일본식 다다미방과 서양식 응접실, 한옥의 온돌방이 결합되어 있다. 샹들리에를 비롯한 가구들은 외국에서 수입한 것이다. 당시 이 집의 건축비가 조선총독부 관저와 비슷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고급 자재를 사용했다. 이영춘 가옥은 근대 새로운 주거문화의 이입을 보여주는 건축물이자 일본인에 의한 토지 점탈과 이영춘 박사의 지역 의료사업을 동시에 보여주는 근대문화유산이다.
  
 
====1차 수정====
 
====1차 수정====
 +
이 집은 전북 지역의 대지주였던 구마모토가 1920년경 지은 별장 저택으로 해방 후에는 구마모토 농장의 진료소장으로 있었던 이영춘 박사(李永春, 1903~1980)가 살았던 가옥이다.
  
 +
이영춘 박사는 1929년 세브란스 의전을 졸업하고 1935년 교토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구마모토 농장의 직영 의료원인 자혜진료소에 부임했다. 해방 후 개정 중앙병원, 한국농촌위생원, 개정 간호전문대학, 개정 뇌병원, 시그레이브 기념병원, 일심·일맥영아원 등 수많은 학교와 의료 사회복지시설을 설립하였다.
  
==참고 자료==
+
이영춘 가옥은 단층의 목조 건축물로 서구식·일식·한식의 건축 양식이 절충된 집이다, 외형은 유럽 가옥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내부는 일본식 중복도형을 바탕으로 일본식 다다미방과 서양식 응접실, 한옥의 온돌방을 갖추고 있다. 샹들리에를 비롯한 가구들은 외국에서 수입한 것이다. 당시 이 집의 건축비가 조선총독부 관저의 건축비와 비슷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고급 자재를 사용했다. 이영춘 가옥은 근대 새로운 주거문화의 이입을 보여주는 건축물이자 일본인에 의한 토지 점탈과 이영춘 박사의 지역 의료사업을 동시에 보여주는 근대문화유산이다.
  
 +
=='''참고자료'''==
 +
* 이영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이영춘가옥, 『디지털군산문화대전』
 +
* 이영춘가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020년 6월 9일 (화) 10:02 판

이영춘가옥
이영춘 가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이영춘가옥
한자 李永春家屋
주소 전북 군산시 동개정길 7 (개정동)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지정일 2003년 10월 31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근대주거/근대가옥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1동(棟)
웹사이트 이영춘 가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이 집은 전북 지역의 대지주였던 구마모토가 1920년경 지은 별장 저택으로 해방 후에는 구마모토 농장의 진료소장으로 있었던 이영춘 박사(李永春, 1903~1980)가 살았던 가옥이다. 이영춘 박사는 1929년 세브란스 의전을 졸업하고 1935년 교토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구마모토 농장의 직영 의료원인 자혜진료소에 부임했다. 해방 후 개정 중앙병원, 한국농촌위생원, 개정 간호전문대학, 개정 뇌병원, 시그레이브 기념병원, 일심·일맥영아원 등 수많은 학교와 의료 사회복지시설을 설립하였다.

이영춘 가옥은 단층의 목조 건축물로 서구식·일식·한옥의 건축양식이 절충된 집이다, 외형은 유럽의 주거형식을 띄고 있으며, 내부는 일본식 중복도형을 바탕으로 일본식 다다미방과 서양식 응접실, 한옥의 온돌방이 결합되어 있다. 샹들리에를 비롯한 가구들은 외국에서 수입한 것이다. 당시 이 집의 건축비가 조선총독부 관저와 비슷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고급 자재를 사용했다. 이영춘 가옥은 근대 새로운 주거문화의 이입을 보여주는 건축물이자 일본인에 의한 토지 점탈과 이영춘 박사의 지역 의료사업을 동시에 보여주는 근대문화유산이다.

1차 수정

이 집은 전북 지역의 대지주였던 구마모토가 1920년경 지은 별장 저택으로 해방 후에는 구마모토 농장의 진료소장으로 있었던 이영춘 박사(李永春, 1903~1980)가 살았던 가옥이다.

이영춘 박사는 1929년 세브란스 의전을 졸업하고 1935년 교토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구마모토 농장의 직영 의료원인 자혜진료소에 부임했다. 해방 후 개정 중앙병원, 한국농촌위생원, 개정 간호전문대학, 개정 뇌병원, 시그레이브 기념병원, 일심·일맥영아원 등 수많은 학교와 의료 사회복지시설을 설립하였다.

이영춘 가옥은 단층의 목조 건축물로 서구식·일식·한식의 건축 양식이 절충된 집이다, 외형은 유럽 가옥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내부는 일본식 중복도형을 바탕으로 일본식 다다미방과 서양식 응접실, 한옥의 온돌방을 갖추고 있다. 샹들리에를 비롯한 가구들은 외국에서 수입한 것이다. 당시 이 집의 건축비가 조선총독부 관저의 건축비와 비슷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고급 자재를 사용했다. 이영춘 가옥은 근대 새로운 주거문화의 이입을 보여주는 건축물이자 일본인에 의한 토지 점탈과 이영춘 박사의 지역 의료사업을 동시에 보여주는 근대문화유산이다.

참고자료

  • 이영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영춘가옥, 『디지털군산문화대전』
  • 이영춘가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