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벽(배산성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개별안내판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
5번째 줄: 4번째 줄:
 
|대표명칭=성벽
 
|대표명칭=성벽
 
|한자=
 
|한자=
|영문명칭=
+
|영문명칭=Fortress Wall
 
|종합안내판=배산성지
 
|종합안내판=배산성지
 
|위도=
 
|위도=
28번째 줄: 27번째 줄:
  
 
===영문===
 
===영문===
'''Fortress Wall (Baesanseong Fortress Site)'''
+
'''Fortress Wall'''
  
Baesanseong Fortress is a stone fortress that encircles the peak of Baesan Mountain (256.3 m above sea level). Despite its relatively low altitude, the fortress commands a panoramic view of the southern coastal and inland areas of Busan and has long been regarded as a place of great strategic importance. It is an important historic site that sheds light on the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s of ancient Korea.  
+
Baesanseong Fortress is a stone fortress that encircles the peak of Baesan Mountain (256.3 m above sea level). Despite its relatively low altitude, the fortress commands a panoramic view of the southern coastal and inland areas of Busan and has long been regarded as a place of great strategic importance. It is an important historic site that sheds light on the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s of ancient Korea.
  
The fortress underwent a topographical survey in 2009 and a preliminary excavation in 2016, before undergoing a series of three archeological excavations. The excavations revealed that the western wall was made of rectangular stones laid vertically, whereas the eastern wall was made of square stones laid in a terraced manner. Based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it is presumed that the fortress was first buil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and the eastern wall later collapsed and was repair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 The base of the Unified Silla-period wall was made of large rubble laid in a terraced manner and filled with small stones to reinforce the wall and prevent it from collapsing. Overall,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re typical of fortresses built by the Silla kingdom (57 BCE-935).
+
The fortress underwent an archaeological surface survey in 2009 and a preliminary excavation in 2016, before undergoing a series of three archeological excavations. The excavations revealed that the western wall was made of rectangular stones laid vertically, whereas the eastern wall was made of square stones laid in a terraced manner. Based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it is presumed that the fortress was first buil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and the eastern wall later collapsed and was repair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 The base of the Unified Silla-period wall was made of large rubble laid in a terraced manner and filled with small stones to reinforce the wall and prevent it from collapsing. Overall,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re typical of stone fortresses built by the Silla kingdom (57 BCE-935).
 
 
*전체적으로 확인 필요합니다.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배산성은 배산(해발 256.3m) 봉우리를 중심으로 둘러 쌓은 전형적인 신라식 석축 산성이다. 해발 고도는 낮지만 부산의 남부 해안가와 내륙 지역을 두루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삼국시대부터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로 알려져 있다.
+
배산성은 배산(해발 256.3m) 봉우리를 중심으로 둘러 쌓은 석축 산성이다. 해발 고도는 낮지만 부산의 남부 해안가와 내륙 지역을 두루 살펴볼 수 있는 곳이며, 오랫동안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로 여겨졌다. 배산성은 한국 고대 성곽의 축조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배산성은 예전부터 흙으로 쌓은 토성으로 알려져 왔으나 2009년 실시한 지표 조사 결과, 흙과 돌을 섞어 성벽을 쌓은 것으로 밝혀졌다. 2016년 시굴 조사 결과, 배산성의 성벽은 직사각형으로 깎은 돌을 가로 방향으로 쌓았고, 성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벽 하단에 추가로 돌을 쌓았던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세 차례의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특히 서쪽 성벽은 삼국시대 성벽 축조 방식에 따라 직사각형의 돌을 수직으로 쌓았으나, 동쪽 성벽은 통일신라시대 축조 방식에 따라 정사각형에 가까운 돌을 이용하여 계단식으로 쌓은 것이 특징이다. 삼국시대에 수직쌓기로 만든 성벽이 무너지자 통일신라시대에 와서 당시의 축조 방식인 계단쌓기로 대대적인 수리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벽 몸체 부분의 바닥을 조사한 결과, 큰 할석들로 내부를 계단식으로 나눈 뒤 그 사이를 작은 돌 등으로 쌓아 성벽 기초를 만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성벽이 무너지지 않게 기초부를 탄탄히 축조했음을 의미한다.
+
이곳에서는 2009년 지표조사와 2016년 시굴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후 세 차례의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서쪽 성벽은 직사각형의 돌을 수직으로 쌓았으나, 동쪽 성벽은 정사각형의 돌을 계단식으로 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축조 방식으로 보아, 배산성은 삼국시대에 처음 축조되었고, 이후 동쪽 성벽이 무너지자 통일신라시대에 수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성벽 몸체의 바닥은 큰 할석들로 내부를 계단식으로 나눈 뒤 그 사이를 작은 돌로 채워 성벽이 무너지지 않게 하였다. 전반적으로 배산성의 축조 기술은 신라시대 석축 산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배산성은 한국 고대 성곽의 축조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2023년 7월 13일 (목) 14:48 판

성벽
Fortress Wall
Goto.png 종합안내판: 배산성지



해설문

국문

배산성지 내에 있는 배산성은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그 주위를 성벽으로 둘러가며 쌓은 전형적인 신라식 석축 산성이다. 해발 고도는 낮지만 부산의 남부 해안가와 내륙 지역을 두루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삼국 시대부터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로 알려져 있다.

이 성은 예전부터 흙으로 쌓은 토성으로 알려져 왔으나 2009년 부산 박물관에서 실시한 지표 조사 결과, 흙과 돌을 섞어 쌓은 편축식 성벽으로 보고되었다. 2016년에는 시굴 조사를 통해 내벽과 외벽에 기단보축(基檀補築)*을 갖춘 전형적인 고대 석축 산성임을 확인했으며, 이후 세 차례의 발굴 조사를 더 실시하였다.

배산성의 성벽은 사각형으로 깎은 돌을 가로 방향으로 쌓아 줄눈을 맞춘 ‘품(品)’자형 외벽과, 외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단보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서쪽 성벽은 삼국 시대 축조 방식에 따라 직사각형의 돌을 수직으로 쌓았으나, 동쪽 성벽은 통일 신라 시대 축조 방식에 따라 정사각형에 가까운 돌을 이용하여 계단식으로 쌓은 것이 특징이다. 삼국 시대에 수직쌓기로 만든 성벽이 무너지자 통일 신라 시대에 와서 당시의 축조 방식인 계단쌓기로 대대적인 수리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벽 몸체 부분의 바닥을 조사한 결과, 큰 할석**들로 내부를 계단식으로 나눈 뒤 그 사이를 작은 돌 등으로 쌓아 성벽 기초를 만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성벽이 무너지지 않게 기초부를 탄탄히 축조했음을 의미한다.

배산성은 삼국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에 걸쳐 이루어진 한국 고대 성곽의 축조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 기단보축(基檀補築): 성벽 붕괴를 막기 위해 하단에 추가로 돌을 쌓은 것으로 신라 시대에 성을 쌓던 방식이다.
  • 할석(割石): 깬 돌

영문

Fortress Wall

Baesanseong Fortress is a stone fortress that encircles the peak of Baesan Mountain (256.3 m above sea level). Despite its relatively low altitude, the fortress commands a panoramic view of the southern coastal and inland areas of Busan and has long been regarded as a place of great strategic importance. It is an important historic site that sheds light on the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s of ancient Korea.

The fortress underwent an archaeological surface survey in 2009 and a preliminary excavation in 2016, before undergoing a series of three archeological excavations. The excavations revealed that the western wall was made of rectangular stones laid vertically, whereas the eastern wall was made of square stones laid in a terraced manner. Based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it is presumed that the fortress was first buil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and the eastern wall later collapsed and was repair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 The base of the Unified Silla-period wall was made of large rubble laid in a terraced manner and filled with small stones to reinforce the wall and prevent it from collapsing. Overall,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re typical of stone fortresses built by the Silla kingdom (57 BCE-935).

영문 해설 내용

배산성은 배산(해발 256.3m) 봉우리를 중심으로 둘러 쌓은 석축 산성이다. 해발 고도는 낮지만 부산의 남부 해안가와 내륙 지역을 두루 살펴볼 수 있는 곳이며, 오랫동안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로 여겨졌다. 배산성은 한국 고대 성곽의 축조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이곳에서는 2009년 지표조사와 2016년 시굴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후 세 차례의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서쪽 성벽은 직사각형의 돌을 수직으로 쌓았으나, 동쪽 성벽은 정사각형의 돌을 계단식으로 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축조 방식으로 보아, 배산성은 삼국시대에 처음 축조되었고, 이후 동쪽 성벽이 무너지자 통일신라시대에 수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성벽 몸체의 바닥은 큰 할석들로 내부를 계단식으로 나눈 뒤 그 사이를 작은 돌로 채워 성벽이 무너지지 않게 하였다. 전반적으로 배산성의 축조 기술은 신라시대 석축 산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