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양주 청련사 독성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양주청련사독성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103440000 양주 청련사...)
 
23번째 줄: 23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홀로 깨달음을 얻은 성자라는 의미인 독성은 ‘나반존자’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나반존자는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명칭으로 소의경전은 없지만 독성 의식문에 그 역할과 거처, 신앙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의하면 독성은 석가모니 입멸* 후 미륵부처**가 나타나기 전까지 조용히 머물면서 선정***을 닦고 신통력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양주 청련사 독성도에는 천태산에서 홀로 선정하고 있는 나반존자가 그려져 있다.
  
 +
길고 흰 눈썹은 독성이 신통력이 있는 존재임을 보여주는 듯하다. 독성이 있는 바위 위는 삼족향로와 향시가 꽂힌 병 등이 올려져 있으며 일부 기물들은 흰색 안료인 호분으로 돋아 금으로 채색한 돋움 기법이 사용되었다. 화기에 의하면 조성 연대와 봉안처는 산신도와 동일하며 시주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동일한 시주자들에 의해 후원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
* 입멸: 승려가 죽음.
 +
* 미륵부처: 석가모니 입멸 후, 미래에 중생을 구제하러 온다는 부처님.
 +
* 선정(禪定): 한마음으로 사물을 생각하여 마음이 하나의 경지에 정지하여 흐트러짐이 없음.
  
 
===영문===
 
===영문===

2023년 4월 18일 (화) 11:57 판


양주 청련사 독성도
양주 청련사 독성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양주 청련사 독성도
한자 楊州 靑蓮寺 獨聖圖
주소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169
지정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4호
지정일 2018년 9월 10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점
웹사이트 양주 청련사 독성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홀로 깨달음을 얻은 성자라는 의미인 독성은 ‘나반존자’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나반존자는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명칭으로 소의경전은 없지만 독성 의식문에 그 역할과 거처, 신앙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의하면 독성은 석가모니 입멸* 후 미륵부처**가 나타나기 전까지 조용히 머물면서 선정***을 닦고 신통력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양주 청련사 독성도에는 천태산에서 홀로 선정하고 있는 나반존자가 그려져 있다.

길고 흰 눈썹은 독성이 신통력이 있는 존재임을 보여주는 듯하다. 독성이 있는 바위 위는 삼족향로와 향시가 꽂힌 병 등이 올려져 있으며 일부 기물들은 흰색 안료인 호분으로 돋아 금으로 채색한 돋움 기법이 사용되었다. 화기에 의하면 조성 연대와 봉안처는 산신도와 동일하며 시주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동일한 시주자들에 의해 후원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입멸: 승려가 죽음.
  • 미륵부처: 석가모니 입멸 후, 미래에 중생을 구제하러 온다는 부처님.
  • 선정(禪定): 한마음으로 사물을 생각하여 마음이 하나의 경지에 정지하여 흐트러짐이 없음.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