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묘법연화경 권4~7(198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묘법연화경권4-7(1988).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809610000 묘법연화경...)
 
25번째 줄: 25번째 줄: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천태종의 근본경전이다. 줄여서『법화경(法華經)』으로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천태종의 근본경전이다. 줄여서『법화경(法華經)』으로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원명사에는『묘법연화경』전7권 2책 중에 권1~3의 1책이 빠진 권4~7의 1책이 남아 있다. 이는 1405년(태종 5)에 성달생·성개 형제가 죽은 아버지의 명복을 빌기 위해 옮겨 적은 불경을 신문信文이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安心寺)에서 닥종이에 찍어 낸 목판본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26.8㎝, 가로 16㎝이고 책제목은 주홍색 바탕에 금색 글씨로 썼다. 청색 비단으로 싼 표지가 남아 있다.  
+
원명사에는『묘법연화경』전7권 2책 중에 권1~3의 1책이 빠진 권4~7의 1책이 남아 있다. 이는 1405년(태종 5)에 성달생·성개 형제가 죽은 아버지의 명복을 빌기 위해 옮겨 적은 불경을 신문(信文)이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安心寺)에서 닥종이에 찍어 낸 목판본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26.8㎝, 가로 16㎝이고 책제목은 주홍색 바탕에 금색 글씨로 썼다. 청색 비단으로 싼 표지가 남아 있다.  
  
 
===영문===
 
===영문===
33번째 줄: 33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묘법연화경』은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는 경전이다.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으며, 천태종의 근본경전이다. 한국에서는 406년 구마라집(344-413)이 한역한 것이 주로 간행, 유통되었다.
  
 +
원명사가 소장한 『묘법연화경』은 전체 7권 중 권4-7이 남아있으며, 하나의 책으로 묶여 있다. 1405년 글씨를 잘 쓰기로 이름난 성달생, 성개 형제가 돌아가신 아버지의 명복을 빌기 위해 불경을 옮겨 적었고, 이를 도인* 신문이 전라도 완주 도솔산 안심사로 가져가 목판에 새기고 찍어냈다. 청색 비단으로 싼 표지가 일부 남아 있으며, 책 제목은 주홍색 바탕에 금색 글씨로 썼다. 책의 크기는 가로 16㎝, 세로 26.8㎝이다.
  
 
+
* 여기서 도인은 불도를 닦아 깨달은 사람, 수행자를 가리키는 말.
 
 
  
  

2022년 11월 27일 (일) 13:31 판


묘법연화경 권4~7(1988)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Lotus Sutra), Volumes 4-7
묘법연화경 권4~7(1988),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묘법연화경 권4~7(1988)
영문명칭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Lotus Sutra), Volumes 4-7
한자 妙法蓮華經 卷四~七(1988)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529번길 83, 원명사 (초정리)
국가유산 종목 보물 제961호
지정(등록)일 1988년 12월 28일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소유자 원명사
관리자 원명사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4권 1책
웹사이트 묘법연화경 권4~7(1988),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천태종의 근본경전이다. 줄여서『법화경(法華經)』으로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원명사에는『묘법연화경』전7권 2책 중에 권1~3의 1책이 빠진 권4~7의 1책이 남아 있다. 이는 1405년(태종 5)에 성달생·성개 형제가 죽은 아버지의 명복을 빌기 위해 옮겨 적은 불경을 신문(信文)이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安心寺)에서 닥종이에 찍어 낸 목판본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26.8㎝, 가로 16㎝이고 책제목은 주홍색 바탕에 금색 글씨로 썼다. 청색 비단으로 싼 표지가 남아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묘법연화경』은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는 경전이다.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으며, 천태종의 근본경전이다. 한국에서는 406년 구마라집(344-413)이 한역한 것이 주로 간행, 유통되었다.

원명사가 소장한 『묘법연화경』은 전체 7권 중 권4-7이 남아있으며, 하나의 책으로 묶여 있다. 1405년 글씨를 잘 쓰기로 이름난 성달생, 성개 형제가 돌아가신 아버지의 명복을 빌기 위해 불경을 옮겨 적었고, 이를 도인* 신문이 전라도 완주 도솔산 안심사로 가져가 목판에 새기고 찍어냈다. 청색 비단으로 싼 표지가 일부 남아 있으며, 책 제목은 주홍색 바탕에 금색 글씨로 썼다. 책의 크기는 가로 16㎝, 세로 26.8㎝이다.

  • 여기서 도인은 불도를 닦아 깨달은 사람, 수행자를 가리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