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거창 내오리 지석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37번째 줄: 37번째 줄: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dolmens in the world.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dolmens in the world.
  
There are three dolmens in Naeo-ri Village. The southernmost of the three is a table-type dolmen, which consists of a wide, flat capstone placed atop upright stone slabs to create an above-ground burial chamber. It measures 2.8 m in length and 2.5 m in width. Located about 5 m to the north of it is a capstone which measures 2.7 m in length and 2.4 m in width and was presumably a part of another table-type dolmen. The third dolmen was destroyed a long time ago. '''It’s remains are located (where ?).'''
+
There are three dolmens in Naeo-ri Village. The southernmost of the three is a table-type dolmen, consisting of a wide, flat capstone placed atop upright stone slabs to create an above-ground burial chamber. Its capstone measures 2.8 m in length and 2.5 m in width. Located about 5 m to the north of this dolmen is a capstone, measuring 2.7 m in length and 2.4 m in width,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part of another table-type dolmen. '''The third dolmen was destroyed a long time ago (???). '''
 
   
 
   
Table-type dolmens are quite rare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makes this site particularly valuable for the research on dolmen types '''and their distribution''' on the peninsula.*
+
It is quite rare to find rable-type dolmens in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makes this site particularly valuable in research on dolmen types and their distribution across the peninsula.
  
* I changed the sentence a bit, because the Korean "research on dolmens constracted during the Bronze age on the peninsula" is kinda redundant, dolmens ARE from Bronze age, and this would suggest there are some other, too...
+
* I changed the sentence a bit, because the Korean "research on dolmens constracted during the Bronze age on the peninsula" is kinda redundant, dolmens ARE from Bronze age, and this would suggest there are some other, too... - 마리아
 +
**정의의 내용과 너무 반복적이어서 생략하는 것이 좋겠어요. 미리아가 쓴 표현이 좋을 것 같아요?
 +
*"3기의 지석묘가 남아 있다." + "나머지 1기는 이미 오래전에 파괴되어 그 흔적만 남아 있다."
 +
**흔적만 남아 있다는 말은 무슨 의미인지 정혀 모르겠어요. 돌이 깨져 있는 건지, 땅에 파여 있는 부분이 있는 건지, 갑석이 없는데 아래 구조물만 남아 있는지(문화재청 포털에서 이런 느낌으로 설명되어 있더라고요). 더 정확히 어떤 모습인지 알아야 번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고임돌 하나가 파괴된 거면 3기의 지석묘가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나요? 모순된 말 같아요.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2년 7월 22일 (금) 09:43 판


거창 내오리 지석묘
거창 내오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거창 내오리 지석묘
한자 居昌 內吾里 支石墓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내오리 산 153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65호
지정일 1983년 8월 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거창 내오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무덤 가운데 하나로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현재 이 주변에는 3기의 지석묘가 남아 있다. 남쪽에 있는 지석묘는 덮개돌의 크기가 2.8m, 너비 2.5m로 탁자식* 형태이다. 북쪽 약 5m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은 덮개돌만 땅 위에 드러나 있는데, 원래는 탁자식 고인돌 형태를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덮개돌 크기는 2.7m, 너비 2.4m이다. 나머지 1기는 이미 오래전에 파괴되어 그 흔적만 남아 있다.

이 지석묘는 남부지방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탁자식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무덤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 탁자식[北方式] :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上石)을 올려놓은 무덤 형태

영문

Dolmens in Naeo-ri, Geochang"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dolmens in the world.

There are three dolmens in Naeo-ri Village. The southernmost of the three is a table-type dolmen, consisting of a wide, flat capstone placed atop upright stone slabs to create an above-ground burial chamber. Its capstone measures 2.8 m in length and 2.5 m in width. Located about 5 m to the north of this dolmen is a capstone, measuring 2.7 m in length and 2.4 m in width,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part of another table-type dolmen. The third dolmen was destroyed a long time ago (???).

It is quite rare to find rable-type dolmens in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makes this site particularly valuable in research on dolmen types and their distribution across the peninsula.

  • I changed the sentence a bit, because the Korean "research on dolmens constracted during the Bronze age on the peninsula" is kinda redundant, dolmens ARE from Bronze age, and this would suggest there are some other, too... - 마리아
    • 정의의 내용과 너무 반복적이어서 생략하는 것이 좋겠어요. 미리아가 쓴 표현이 좋을 것 같아요?
  • "3기의 지석묘가 남아 있다." + "나머지 1기는 이미 오래전에 파괴되어 그 흔적만 남아 있다."
    • 흔적만 남아 있다는 말은 무슨 의미인지 정혀 모르겠어요. 돌이 깨져 있는 건지, 땅에 파여 있는 부분이 있는 건지, 갑석이 없는데 아래 구조물만 남아 있는지(문화재청 포털에서 이런 느낌으로 설명되어 있더라고요). 더 정확히 어떤 모습인지 알아야 번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고임돌 하나가 파괴된 거면 3기의 지석묘가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나요? 모순된 말 같아요.

영문 해설 내용

지석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구조물이다. 지석묘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는데, 한반도는 세계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이다.

내오리에는 3기의 지석묘가 남아 있다. 남쪽에 있는 지석묘는 받침돌을 세워 지상에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넓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 형태이고, 덮개돌의 크기가 길이 2.8m, 너비 2.5m이다. 이 지석묘에서 북쪽으로 약 5m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은 덮개돌만 땅 위에 드러나 있는데, 원래는 탁자식 지석묘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덮개돌 크기는 길이 2.7m, 너비 2.4m이다. 나머지 1기는 이미 오래전에 파괴되어 그 흔적만 남아 있다.

이 지석묘들은 한반도 남부지방에서는 드문 탁자식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청동기시대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지석묘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