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30번째 줄: 30번째 줄:
  
 
===영문===
 
===영문===
 +
'''Buddhist Painting and Preliminary Drawing of Yeongpyeongsa Temple, Anseong (Solitary Awakened One)'''
  
 +
This Buddhist painting depicts a pratyekabuddha, which is a being who achieved enlightenment on their own without a teacher. A preliminary drawing is also attached at the back of the painting which presents a very rare opportunity to see the process of creating a Buddhist painting. The preliminary drawing and the painting were created between 1907 and 1910 by the monk-painter Jongin who produced his works between 1880 and 1933 in the regions of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
The pratyekabuddha is depicted as an elderly monk wearing a red monastic robe drapped diagonally over a one-piece black outer robe* and holding a cane. Behind him is a monk apprentice wearing a red robe. Pratyekabuddha’s face is depicted in a simplistic manner, while his facial features indicate that he is in a meditative state. The waterfall and the V-shaped valley in the background represent 천태산** in India where the first pratyekabuddha achieved enlightenment. 
  
 +
 +
*It seems that before we translated 장삼 and 가사 as an inner and an outer robe, but 장삼 is actually an outer layer worn above a bunch of other stuff and 가사 is (at least in China, Korea, and Japan) just a rectangular piece of fabric wrapped around the outer layer. As I understand 가사 is also the only robe that is distinctly monastic and can be worn by fully ordained monks, which is why I decided to call it that.
 +
장삼: https://en.wikipedia.org/wiki/Zhiduo_(clothing)#Korea
 +
**I couldn’t find the name of the mountain in India. Here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6021) it says it is in southern India.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2년 6월 1일 (수) 02:59 판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
한자 安城 永坪寺 獨聖圖 및 草本
주소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신장길 79-42 영평사
국가유산 종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지정(등록)일 2019년 12월 18일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점
웹사이트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독성이란 스승 없이 혼자 수행해 깨달음을 얻어 성인이 된 사람을 말하며, 독성도는 독성을 그린 그림이다. 초본이란 이러한 그림 제작에 사용한 밑그림을 말한다.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은 1880년에서 1933년경까지 금강산 유점사 칠성탱을 비롯하여 주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서 불화를 그린 관하당 종인(觀河堂 宗仁)이라는 승려가 그린 작품으로, 대한제국기인 1907~1910년 사이에 그려졌다. 이 그림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뒷면에 붙어있던 초본을 발견하였는데, 불화와 초본이 함께 전해진 사례는 매우 드물어 불화의 제작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림의 중앙에는 천태산을 배경으로 나이 든 승려 모습을 한 독성이 앉아있고, 그 뒤로 동자를 그려 놓았다. 배경에는 골짜기 사이로 폭포와 같은 물줄기를 그리고, 그 가운데 새를 배치하였다. 독성은 검은색 장삼과 붉은색 가사를 걸치고, 손에는 지팡이를 쥐고 있다. 얼굴 또한 간결하게 묘사되어 깊은 산속에서 홀로 수행하는 독성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영문

Buddhist Painting and Preliminary Drawing of Yeongpyeongsa Temple, Anseong (Solitary Awakened One)

This Buddhist painting depicts a pratyekabuddha, which is a being who achieved enlightenment on their own without a teacher. A preliminary drawing is also attached at the back of the painting which presents a very rare opportunity to see the process of creating a Buddhist painting. The preliminary drawing and the painting were created between 1907 and 1910 by the monk-painter Jongin who produced his works between 1880 and 1933 in the regions of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The pratyekabuddha is depicted as an elderly monk wearing a red monastic robe drapped diagonally over a one-piece black outer robe* and holding a cane. Behind him is a monk apprentice wearing a red robe. Pratyekabuddha’s face is depicted in a simplistic manner, while his facial features indicate that he is in a meditative state. The waterfall and the V-shaped valley in the background represent 천태산** in India where the first pratyekabuddha achieved enlightenment.


  • It seems that before we translated 장삼 and 가사 as an inner and an outer robe, but 장삼 is actually an outer layer worn above a bunch of other stuff and 가사 is (at least in China, Korea, and Japan) just a rectangular piece of fabric wrapped around the outer layer. As I understand 가사 is also the only robe that is distinctly monastic and can be worn by fully ordained monks, which is why I decided to call it that.

장삼: https://en.wikipedia.org/wiki/Zhiduo_(clothing)#Korea

영문 해설 내용

이 불화는 스승 없이 홀로 수행해 깨달음을 얻어 성인이 된 나반존자를 그린 불화이다. 불화 뒷면에 초본이 붙어 있었는데, 불화와 초본이 함께 전해진 사례는 매우 드물어 불화의 제작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불화와 초본은 1880년에서 1933년경까지 주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서 불화를 그린 종인이라는 승려 화가가 1907-1910년 사이에 그렸다.

그림의 중앙에는 나이 든 승려 모습의 나반존자가 검은색 장삼과 붉은색 가사를 걸친 채 손에는 지팡이를 쥐고 앉아있다. 그 뒤에는 붉은색 옷을 입은 동자가 서 있다. 나반존자의 얼굴은 간결하게 묘사되어 깊은 산속에서 홀로 수행하는 성인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배경에는 폭포가 흘러내리는 V자형의 골짜기를 그렸는데, 이는 나반존자가 수행하던 천태산을 나타낸 것이다.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