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안성영평사독성도및초본_독성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101920000...)
 
6번째 줄: 6번째 줄: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安城 永坪寺 獨聖圖 및 草本
 
|한자=安城 永坪寺 獨聖圖 및 草本
|주소=
+
|주소=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신장길 79-42 영평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지정번호=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35번째 줄: 35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 불화는 스승 없이 홀로 수행해 깨달음을 얻어 성인이 된 나반존자를 그린 불화이다. 불화 뒷면에 초본이 붙어 있었는데, 불화와 초본이 함께 전해진 사례는 매우 드물어 불화의 제작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불화와 초본은 1880년에서 1933년경까지 주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서 불화를 그린 종인이라는 승려 화가가 1907-1910년 사이에 그렸다.
  
 
+
그림의 중앙에는 나이 든 승려 모습의 나반존자가 검은색 장삼과 붉은색 가사를 걸친 채 손에는 지팡이를 쥐고 앉아있다. 그 뒤에는 붉은색 옷을 입은 동자가 서 있다. 나반존자의 얼굴은 간결하게 묘사되어 깊은 산속에서 홀로 수행하는 성인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배경에는 폭포가 흘러내리는 V자형의 골짜기를 그렸는데, 이는 나반존자가 수행하던 천태산을 나타낸 것이다.
 
 
  
 
=='''갤러리'''==
 
=='''갤러리'''==

2022년 5월 31일 (화) 15:29 판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
한자 安城 永坪寺 獨聖圖 및 草本
주소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신장길 79-42 영평사
국가유산 종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지정(등록)일 2019년 12월 18일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점
웹사이트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독성이란 스승 없이 혼자 수행해 깨달음을 얻어 성인이 된 사람을 말하며, 독성도는 독성을 그린 그림이다. 초본이란 이러한 그림 제작에 사용한 밑그림을 말한다.

「안성 영평사 독성도 및 초본」은 1880년에서 1933년경까지 금강산 유점사 칠성탱을 비롯하여 주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서 불화를 그린 관하당 종인(觀河堂 宗仁)이라는 승려가 그린 작품으로, 대한제국기인 1907~1910년 사이에 그려졌다. 이 그림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뒷면에 붙어있던 초본을 발견하였는데, 불화와 초본이 함께 전해진 사례는 매우 드물어 불화의 제작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림의 중앙에는 천태산을 배경으로 나이 든 승려 모습을 한 독성이 앉아있고, 그 뒤로 동자를 그려 놓았다. 배경에는 골짜기 사이로 폭포와 같은 물줄기를 그리고, 그 가운데 새를 배치하였다. 독성은 검은색 장삼과 붉은색 가사를 걸치고, 손에는 지팡이를 쥐고 있다. 얼굴 또한 간결하게 묘사되어 깊은 산속에서 홀로 수행하는 독성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불화는 스승 없이 홀로 수행해 깨달음을 얻어 성인이 된 나반존자를 그린 불화이다. 불화 뒷면에 초본이 붙어 있었는데, 불화와 초본이 함께 전해진 사례는 매우 드물어 불화의 제작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불화와 초본은 1880년에서 1933년경까지 주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서 불화를 그린 종인이라는 승려 화가가 1907-1910년 사이에 그렸다.

그림의 중앙에는 나이 든 승려 모습의 나반존자가 검은색 장삼과 붉은색 가사를 걸친 채 손에는 지팡이를 쥐고 앉아있다. 그 뒤에는 붉은색 옷을 입은 동자가 서 있다. 나반존자의 얼굴은 간결하게 묘사되어 깊은 산속에서 홀로 수행하는 성인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배경에는 폭포가 흘러내리는 V자형의 골짜기를 그렸는데, 이는 나반존자가 수행하던 천태산을 나타낸 것이다.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