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상좌수영성 남문 옹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4번째 줄: 24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 밖에 쌓은 성벽이다.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 밖에 쌓은 성벽이다.  
18세기 중반의 여지도서(輿地圖書)를 비롯한 문헌들에서 3곳으로 기록된다. 1990년 실시한 조사에서도 남문, 동문, 북문 3곳에 설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좌수영지(左水營誌,18세기 말)에서 임신년(1692) 개축 때 동북 옹성 2곳의 여장을 수리했다는 기록이 있어 남·동·북문의 옹성이 1652년 남촌(수영동)으로 옮겨졌을 때 또는 그 직후에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18세기 중반 편찬된 『여지도서』 등 여러 문헌에는 경상좌수영성에 3곳의 옹성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90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도 남문, 북문, 동문에 옹성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
 
 +
이 옹성들은 1652년 좌수영성이 지금의 수영동 지역으로 옮겨졌을 때 또는 그 직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말에 편찬된 『좌수영지』에 따르면 동성과 북성의 옹성은 1692년 좌수영성을 개축할 때 수리하였다고 한다.  
  
  

2022년 4월 20일 (수) 09:30 판


경상좌수영성 남문 옹성 慶尙左水營城 南門 甕城
Goto.png 종합안내판: 경상좌수영성지



해설문

국문

경상좌수영성의 옹성은 18세기 중반의 여지도서(輿地圖書)를 비롯한 문헌들에서 3곳으로 기록된다. 1990년 실시한 조사에서도 남문, 동문, 북문 3곳에 설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좌수영지(左水營誌,18세기 말)에서 임신년(1692) 개축 때 동북 옹성 2곳의 여장을 수리했다는 기록이 있어 남·동·북문의 옹성이 1652년 남촌(수영동)으로 옮겨졌을 때 또는 그 직후에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옹성: 큰 성문을 지키기 위해 성문 밖에 쌓은 작은 성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 밖에 쌓은 성벽이다.

18세기 중반 편찬된 『여지도서』 등 여러 문헌에는 경상좌수영성에 3곳의 옹성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90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도 남문, 북문, 동문에 옹성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옹성들은 1652년 좌수영성이 지금의 수영동 지역으로 옮겨졌을 때 또는 그 직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말에 편찬된 『좌수영지』에 따르면 동성과 북성의 옹성은 1692년 좌수영성을 개축할 때 수리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