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700여 년 전에 몽골의 침략군을 물리치고 조국을 지키기 위해 궐기했던 고려의 마지막 항몽세력인 삼별초가 최후까지 항쟁하다 장렬하게 순의한 유적지이다.
+
제주 항파두리항몽유적은 13세기 후반 원(몽고)나라 침략에 저항한 삼별초가 만든 성이다. 제주도 내에는 당시 원(몽고)군에 맞선 삼별초의 항전지가 여러 곳에 남아있다.
  
삼별초는 고려 조정이 몽골군과 강화를 맺자 이에 반대하여 끝까지 몽골 침략군을 몰아낼 것을 내세워 독자적으로 항몽활동을 계속하였다. 삼별초는 고려 조정이 몽골과 강화를 맺자, 새로운 정부를 세워 강화도에서 전라도 진도로 근거지를 옮기면서 항몽에 나섰으나, 진도가 여·몽연합군의 공격으로 함락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김통정장군 중심의 삼별초가 제주도로 건너와 항파두리성을 쌓고 여·몽연합군과대결하였던 최후의 항쟁지이다.
+
삼별초는 고려시대 무인정권이 양성한 고려의 정예군이었다. 1270년 2월 고려 조정이 원군과 강화를 맺자, 삼별초는 이에 맞서 독자적인 대몽투쟁을 이어갔다. 처음 전라도 진도를 새로운 거점으로 삼아 남해안 일대에서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1271년 5월 고려 조정과 몽고군으로 이루어진  연합군에 의해 진도가 함락된 후 제주로 거점을 옮겼다. 제주로 들어온 삼별초는 항파두리에 성을 쌓아 끝까지 항전하였으나, 1273년 3월 결국 연합군에 함락되었다.
  
삼별초군이 축조한 항파두리성은 1.5리에 걸친 토성과 그 안에 축조한 석성의 이중 성곽으로 이루어졌다. 성 내에는 궁궐과 관아 시설까지 갖춘 요새였으나, 지금은 토성만이 남아 있다.
+
항파두리성은 해발고도 200m 정도의 동산에 만들어져 성에서 멀리 해안 일대의 상황을 바라보며 적의 접근을 미리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더욱이 성의 동쪽과 서쪽에는 깊은 골짜기와 하천이 있어 적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자연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수정 국문===
+
성은 장방형의 내성과 타원형의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재 흙으로 쌓은 외성과 내성이 남아 있다. 내성은 둘레가 약 750m로, 삼별초의 지휘부가 있던 곳으로 추정된다. 외성은 전체 둘레는 약 3.8km, 면적은 약 80만 9000㎡에 달한다.  
====초고====
 
항파두리 항몽 유적은 13세기 후반 고려를 침략한 몽고군에 끝까지 저항한 삼별초 최후의 항전지이다.  
 
  
삼별초는 고려시대 무인정권이 양성한 고려의 정예 군사집단이었다. 1270년 2월 무인정권이 무너지고 고려 조정이 몽고군과 강화를 맺자, 삼별초는 이에 반대하여 독자적인 항몽활동을 계속하였다. 전라도 진도를 새로운 거점으로 삼아 남해안 일대에서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1271년 5월 고려 조정과 몽고군의 연합군에 의해 진도가 함락된 후 제주로 거점을 옮겼다. 제주로 들어온 삼별초는 항파두리성을 쌓고 끝까지 항전하였으나, 1273년 3월 결국 연합군에 함락되었다. 
+
===영문===
 +
'''Historic Site of Anti-Mongolian Struggle in Hangpadu-ri, Jeju'''
  
항파두리성이 위치한 곳은 해안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고 해발고도가 200m 내외로, 성에서 해안 일대의 상황을 조망하며 적의 접근을 미리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또한 성의 동쪽과 서쪽에는 깊은 골짜기와 2개의 하천이 있어 천연의 방어시설로 사용되었다.
+
===영문 해설 내용===
 
+
항파두리 항몽 유적은 고려시대의 특수 부대인 삼별초가 13세기 후반 고려를 침략한 몽고군에 끝까지 저항하기 위해 만든 성이다.  
성은 장방형의 내성과 타원형의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재 토축 성벽 일부가 남아 있다. 내성은 둘레가 약 700m로, 삼별초의 지휘부가 있던 곳으로 추정된다. 외성은 전체 둘레는 약 6km, 면적은 약 79만 3000㎡에 달한다. 동서남북에 문이 있고 성 안에는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항파두리성 주변에서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샘이 3개소 발견되었으며, 성내의 건물지는 17개소가 확인되었다. 고려시대의 청자 조각과 함께 조선시대의 자기 조각들도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항파두리성의 사용 시기가 조선시대까지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
삼별초는 고려시대 무인정권이 양성한 정예군이었다. 1270년 고려 조정이 몽고군과 강화를 맺자, 삼별초는 이에 반대하여 독자적인 대몽투쟁을 이어갔다. 처음에는 전라도 진도를 새로운 거점으로 삼아 남해안 일대에서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1271년 고려 조정과 몽고군의 연합군에 의해 진도가 함락된 후 제주로 거점을 옮겼다. 제주로 들어온 삼별초는 항파두리에 성을 쌓아 끝까지 항전하였으나, 1273년 결국 연합군에 함락되었다. 
  
 +
항파두리성은 해발고도 200m 정도의 동산에 만들어졌고 해안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어, 성에서 해안 일대의 상황을 바라보며 적의 접근을 미리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더욱이 성의 동쪽과 서쪽에는 깊은 골짜기와 하천이 있어 적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자연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
성은 장방형의 내성과 타원형의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재 흙으로 쌓은 외성과 내성이 남아 있다. 내성은 둘레가 약 750m로, 삼별초의 지휘부가 있던 곳으로 추정된다. 외성은 전체 둘레 약 3.8km, 면적은 약 80만 9000㎡에 달한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1년 8월 10일 (화) 11:06 판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Historic Site of Anti-Mongolian Struggle in Hangpadu-ri, Jeju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영문명칭 Historic Site of Anti-Mongolian Struggle in Hangpadu-ri, Jeju
한자 濟州 缸坡頭里 抗蒙 遺蹟
국가유산 종목 사적 제396호
지정(등록)일 1997년 4월 18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수량/면적 1,097,490㎡
웹사이트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제주 항파두리항몽유적은 13세기 후반 원(몽고)나라 침략에 저항한 삼별초가 만든 성이다. 제주도 내에는 당시 원(몽고)군에 맞선 삼별초의 항전지가 여러 곳에 남아있다.

삼별초는 고려시대 무인정권이 양성한 고려의 정예군이었다. 1270년 2월 고려 조정이 원군과 강화를 맺자, 삼별초는 이에 맞서 독자적인 대몽투쟁을 이어갔다. 처음 전라도 진도를 새로운 거점으로 삼아 남해안 일대에서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1271년 5월 고려 조정과 몽고군으로 이루어진 연합군에 의해 진도가 함락된 후 제주로 거점을 옮겼다. 제주로 들어온 삼별초는 항파두리에 성을 쌓아 끝까지 항전하였으나, 1273년 3월 결국 연합군에 함락되었다.

항파두리성은 해발고도 200m 정도의 동산에 만들어져 성에서 멀리 해안 일대의 상황을 바라보며 적의 접근을 미리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더욱이 성의 동쪽과 서쪽에는 깊은 골짜기와 하천이 있어 적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자연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성은 장방형의 내성과 타원형의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재 흙으로 쌓은 외성과 내성이 남아 있다. 내성은 둘레가 약 750m로, 삼별초의 지휘부가 있던 곳으로 추정된다. 외성은 전체 둘레는 약 3.8km, 면적은 약 80만 9000㎡에 달한다.

영문

Historic Site of Anti-Mongolian Struggle in Hangpadu-ri, Jeju

영문 해설 내용

항파두리 항몽 유적은 고려시대의 특수 부대인 삼별초가 13세기 후반 고려를 침략한 몽고군에 끝까지 저항하기 위해 만든 성이다.

삼별초는 고려시대 무인정권이 양성한 정예군이었다. 1270년 고려 조정이 몽고군과 강화를 맺자, 삼별초는 이에 반대하여 독자적인 대몽투쟁을 이어갔다. 처음에는 전라도 진도를 새로운 거점으로 삼아 남해안 일대에서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1271년 고려 조정과 몽고군의 연합군에 의해 진도가 함락된 후 제주로 거점을 옮겼다. 제주로 들어온 삼별초는 항파두리에 성을 쌓아 끝까지 항전하였으나, 1273년 결국 연합군에 함락되었다.

항파두리성은 해발고도 200m 정도의 동산에 만들어졌고 해안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어, 성에서 해안 일대의 상황을 바라보며 적의 접근을 미리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더욱이 성의 동쪽과 서쪽에는 깊은 골짜기와 하천이 있어 적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자연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성은 장방형의 내성과 타원형의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재 흙으로 쌓은 외성과 내성이 남아 있다. 내성은 둘레가 약 750m로, 삼별초의 지휘부가 있던 곳으로 추정된다. 외성은 전체 둘레 약 3.8km, 면적은 약 80만 9000㎡에 달한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