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흥 무열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자료)
76번째 줄: 76번째 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7월 17일 (토) 01:25 판


고흥 무열사
Muyeolsa Shrine, Goheung
고흥 무열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흥 무열사
영문명칭 Muyeolsa Shrine, Goheung
한자 高興 武烈祠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서신길 53-12
지정번호 전라남도 기념물 제58호
지정일 1981년 10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수량/면적 일원
웹사이트 고흥 무열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무열사는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조선시대의 무신 진무성(陳武晟, 1566~?)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고종 19년(1882)에 건립된 사당이다.

진무성은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지휘했던 당포해전(1592), 옥포해전(1592) 등의 여러 전투와 제2차 진주성전투(1593)에 참전하였다. 임진왜란 때의 전공으로 공신에 책봉되었으며, 전쟁이 끝난 후인 선조 32년(1599)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무관직을 역임하였다.

진무성은 본래 창원박씨 가문의 박유원(朴由元, 1388~1450), 박태수(朴鮐壽, 1475~1593), 박홍세(朴弘世, 1550~1598) 세 사람과 함께 순조 26년(1826) 고흥군 대서면 상남리에 세워진 용강사(龍岡祠)에 배향되었다. 그러나 용강사는 고종 5년(1868) 서원철폐령에 의해 철거되었고, 이후 지역 유림들과 후손들이 힘을 모아 그가 태어난 신송리 동신마을에 무열사를 세웠다.

경내에는 외삼문, 강당인 저존재(著存齋), 유물들이 보관되어 있는 유물각, 내삼문, 사당이 있고, 진무성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건물들은 1941년과 1971년에 고쳐 지었으며, 매년 봄에 진무성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다.

사당 안에는 숙종 12년(1686) 왕이 하사한 진무성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이밖에도 무열사에는 임진왜란 때 진무성이 직접 사용했다고 전하는 칠성검, 일산 등의 유물과 총 79장의 고문서가 소장되어 있다. 고문서 중에는 진무성이 무과에 급제하여 받은 교지와 무열사의 창건 동기나 건립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지역 유생들의 상서(上書) 및 이에 대한 관의 입안(立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영문

Muyeolsa Shrine, Goheung

영문 해설 내용

무열사는 조선시대의 무신 진무성(1566-?)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1882년에 건립되었다.

진무성은 임진왜란 때의 명장인 이순신(1545-1598)의 휘하에서, 당포해전(1592), 옥포해전(1592) 등의 여러 전투와 제2차 진주성전투(1593)에 참전하였다. 임진왜란 때의 전공으로 공신에 책봉되었으며, 전쟁이 끝난 후인 1599년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무관직을 역임하였다.

진무성은 본래 1826년 고흥군 상남리에 세워진 용강사에 모셔졌다. 그러나 용강사는 1868년 서원철폐령에 의해 철거되었고, 이후 지역 유림들과 후손들이 힘을 모아 그가 태어난 신송리 동신마을에 무열사를 세웠다.

경내에는 정문, 강당, 유물각, 내삼문, 사당이 있고, 진무성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건물들은 1941년과 1971년에 고쳐 지었다. 사당 안에는 1686년 왕이 하사한 진무성의 영정이 모셔져 있으며, 매년 봄에 진무성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다.

이밖에도 무열사에는 임진왜란 때 진무성이 직접 사용했다고 전하는 칠성검, 일산 등의 유물과 총 79장의 고문서가 소장되어 있다. 고문서 중에는 진무성이 무과에 급제하여 받은 교지, 무열사의 창건 동기나 건립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지역 유생들의 상서, 이와 관련하여 관청에서 발급한 공문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참고자료